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교사들의 창의성에 관한 미시담론 형성 과정

이용수 38

영문명
Micro-Discourses on Creativity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원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우(Park, Jeongwoo) 정하나(Jung, Hana) 김도영(Kim, Do Young) 김지연(Kim, Ji Yeon) 서영선(Seo, Young Seon) 이수아(Le
간행물 정보
『한국교원교육연구』제36권 제3호, 259~28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초등교사들의 창의성과 관련된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탐색하였다. 연구는 일반적인 질적 방법에 따라 이루어졌다. 연구 참여자는 강의를 통해 자연스럽게 형성된 다섯 명의 초등 교사들이었으며, 자료는 창의성에 관한 끝열린 토론에서 수집되고 분석 및 해석되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창의성에 대한 교사들의 초기 발화인 ‘비범한 창의성’에 내포된 다양한 출처의 사회적 언어를 조명하는 것으로부터, 둘째 ‘비범한 창의성’ 관점의 해체와 ‘일상적 창의성’의 의미를 추구하는 것을 통과하고, 셋째 ‘나의 삶’에서 ‘일상적 창의성’ 발현의 포착과 해석을 다루며 창의성 교육을 재고하는 것으로 진행되는 미시담론 형성 과정을 다루었다. 토론 과정에서 참여교사들의 담화는 창의성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서 미시적 관점으로 이동했으며, 일련의 담화 과정은 ‘창의성이란?’이라는 열린 질문에 대한 교사들의 발화 흐름과 상호행위적으로 구성되는 공동의 의미생성 과정을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교사들의 특정 담론 형성이 선형적인 이론을 따라가는 과정이 아니고 삶과 복잡하게 얽힌 긴 담화의 흐름을 통과해야 하는 과정임을 보여주며, 교육적 실행은 특정 담론 형성을 포괄하는 장기적 안목으로 접근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d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about creativity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study was conducted according to general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Participants were five elementary teachers, naturally grouped through lectures, and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analyzed, and interpreted in an open discussion about creativity.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ly shed light on the social language of various sources implied in the “extraordinary creativity” that emerged from the teachers early dialogue on creativity. Secondly, through the disconstructing of the “extraordinary creativity” perspective and pursuing the meaning of “everyday creativity,” Thirdly, we dealt with the process of micro-discourse formation that proceeds to rethink creativity education by dealing with the capture and interpretation of the expression of general creativity in My Life . In the discussion, the discourses of the participating teachers shifted from the macro to the micro perspectives of creativity. A series of discourses showed the teachers discourse flow about opened questions of what is creativity? It also showed a process of generation of meaning that is interactively constructed about this quest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formation of specific discourses by teachers is not a process of following a linear theory but of passing through a long flow of discourse intertwined with life. It also suggests that pedagogical practice should be approached with a long-term view that encompasses the formation of specific discours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및 논의
Ⅳ.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우(Park, Jeongwoo),정하나(Jung, Hana),김도영(Kim, Do Young),김지연(Kim, Ji Yeon),서영선(Seo, Young Seon),이수아(Le. (2019).초등교사들의 창의성에 관한 미시담론 형성 과정. 한국교원교육연구, 36 (3), 259-288

MLA

박정우(Park, Jeongwoo),정하나(Jung, Hana),김도영(Kim, Do Young),김지연(Kim, Ji Yeon),서영선(Seo, Young Seon),이수아(Le. "초등교사들의 창의성에 관한 미시담론 형성 과정." 한국교원교육연구, 36.3(2019): 259-28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