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이용수 64

영문명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발행기관
한국기술교육학회
저자명
Hyuksoo Kwon Mark Sanders Thomas Sherman
간행물 정보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1권 제1호, 228~245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1.04.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서 기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관한 현직 기술교사들의 생각을 조사하는 것이다. 게다가, 이 연구는 40년간의 기술교육 분야의 종단적인 기록을 제공하였다. 하나의 온라인 설문지가 개발되어 중등학교 기술교사들 (미국의 동부, 중서부, 그리고 서부의 3개 지역의 7개 주에서 기술교육을 하고 있는 교사들과 국제기술공학교육자협회의 회원으로 등록된 기술교사들) 에게 보내어졌다. 우리 연구팀은 전에 실시된 적이 있는 국가수준의 설문지들과 기술교육 학문분야의 새로운 화두들에 기초하여 설문지 개발 작업을 하였다. 이 설문조사의 결과는 기술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관한 기술교사들의 생각의 변화를 찾고 인구통계학적인 변화를 기록하기 위하여 40년에 걸친 연구 결과들을 역사적인 맥락에서 비교하였다. 많은 결과들이 이 보고서에서 적절하게 다루어졌다. 우선, 기술교육은 다양한 프로그램 이름들로 아주 종종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공학 이라는 형태의 이름은 기술교육 프로그램들을 부르는 새로운 하나의 경향으로 나타나고 있다. 둘째, 기술교사와 학생들의 구성은 지난 10년간 다양성 면에서 본질적인 증가와 함께 시간에 따라서 다양화해지고 있다. 셋째, 문제해결능력을 개발하기 와 같은 일반교육으로서의 기술교육의 목적들은 이 연구에서 기술교사들이 가장 많이 답한 목적이나 도구와 기계를 사용하는데 기능을 개발하는 것 과 같은 직업교육측면의 목적들은 전의 연구에서 대부분을 차지했던 목적들이다. 마지막으로, 기술 교사들은 기술교육은 설계와 문제해결의 맥락에서 가르쳐질 기술의 핵심 개념들 을 강조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이런 결과들은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그 영향과 기술교육분야의 미래 발전을 위한 함의에 관하여 토론되어 졌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s and content of Technology Education instruction in the U.S.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d a longitudinal record of the Technology Education profession over 40 years. An on-line survey was developed and sent separately to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who (1) taught within seven selected states in three regions (eastern, mid-west, and western) of the United States; and (2) were members of the International Technology and Engineering Educators Association. We developed the instrument items based on previous national surveys and emerging issues in the profession. Findings from this survey were put into historical context by comparing results with the four national surveys covering over 40 years to identify changes in teachers beliefs about the purposes, and content of Technology Education as well as to document demographic changes. A number of findings were pertinent to this paper. First, Technology Education is the most frequently used program name followed by a variety of alternate program names; some form of engineering appears to be an emerging trend for naming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econd, the composition of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and students has become more diverse over time with substantial increases in diversity for the past 10 years. Third, general education purposes such as develop problem solving skills are the most frequent purposes teachers identified while vocational type purposes such as develop skills in using tools and machines were prominent in previous studies. Finally,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reported that they believe Technology Education should address core concepts of technology taught in the context of design and problem solving. These and other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impact on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development in the profession.

목차

Abstract
I. Introduction
II. Research Design and Methodology
III. Findings and Interpretations
IV. Conclusion and Recommendation
Reference
국문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Hyuksoo Kwon,Mark Sanders,Thomas Sherman. (2011).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 (1), 228-245

MLA

Hyuksoo Kwon,Mark Sanders,Thomas Sherman.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2011): 228-24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