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
이용수 333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unity Ac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Middle Schools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임윤진(Yun-Jin Lim) 나승일(Seung-Il Na)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1권 제1호, 104~127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중학교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 수준, 둘째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 셋째.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 수준의 관계에서 교재연구 역량의 매개효과를 구명하는데 있었다.
이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의 중학교에 근무하는 기술교사들인데, 표집방법은 체계적인 표집의 방법을 사용하여 1,023개의 학교에서 1,002명의 기술교사를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에 사용된 질문지에는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 교재연구 역량, 교수 역량,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특성 측정도구가 포함되었다. 분석에 사용된 통계 방법은 기술통계, 상관분석 및 회귀분석이었고 SPSS 12.0 프로그램이 활용되었다. 통계적 유의미성은 0.05를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은 대체로 소극적이고. 교수역량 수준은 5점만점에 3.77로이었다. 기술교사의 이론적 교수역량은 3.64로 보통수준, 실천적 교수역량 수준은 3.90으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한편,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재연구 역량 간에는 낮은 수준의 정적 상관이 있고, 교재연구 역량은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인 효과를 보인다.
영문 초록
The detailded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and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middle school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unity ac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and to deter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ompetence for teaching preparation betwee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community activity and teaching competence of technology teachers in middle schools.
The population was all middle school technology teachers in Korea. Using systematic sampling technique, 1,002 teachers of 1,023 school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learning community activity scale(LCAS), competence for teaching preparation scale(CfTPS) by developed the researcher, teaching competence scale(TCS) based on TCS by Whang(2008)/ and demographics questions. Both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cs were employed for the data analysis.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 for determ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12.0 Win.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
Learning community activity competence(LCAC) of Middle school technology teachers were rather insignificant and the total of technology teachers teaching competence was 3.77 of 5 point likets. The technology teachers theoretical teaching competence(TTC) was moderate(3.64) and the practical teaching competence (PTC) was moderately high(3.90). There was a positive low relationship between 10 variables of the technology teachers LCA and TC. Technology teachers TCL are directly affected by LCA, and technology teachers TMS affects on the TCL by partly mediating the LCA.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IV. 연구의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기술교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교사의 역량 개발 요구도
- ADDIE 모형을 활용한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의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 개발
-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기술과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 중학교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ICT 콘텐츠 스캐폴드 개발 모형 연구
- 공학 인재개발을 위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설계 연구
-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 발명 문제 해결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EEG 활성도
-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