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학 인재개발을 위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설계 연구
이용수 55
- 영문명
- Research of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Model Design for Engineer HRD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박기문(Ki-Moon Park) 최유현(Yu-Hyun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1권 제1호, 79~10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공과대학에서 운영하고 있는 공학교육프로그램의 가치를 종합적으로 분석, 판단하고 그 효율성과 성과를 제고할 수 있는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학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모형과 관련한 문헌고찰을 통하여 공학교육 프로그램의 평가 절차, 평가모형과 평가준거를 구안하였다.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 절차는 ①문제 인식과 정의, ②평가계획 수립과 준비, ③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 ④가치판단이다. 공과대학은 산업체와 같은 외부 조직에 공학 인재를 공급하고, 외부적으로는 산업체 직업에 대한 재교육, 산학 공동연구 수행 및 산업체의 문제해결과 자문활동 등을 고려해야 하므로 산업체 현장 전문가의 의견을 전 단계에 포함하였다.
둘째,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은 체제분석적 접근에 기반한 모형으로 ‘체체분석적 접근에 기반한 평가모형’으로 명명하였으며, 평가단계의 하위 평가준거인 평가 영역과 평가요소는 관련 문헌고찰과 내용분석법을 적용하여 18개의 평가영역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system analytical approach based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 assessment models that can analyze and judge the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s operated by engineering colleges and enhance the efficiency and outcomes of the programs in practical contexts.
First, the Assessment Model for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AMEEP) on based System Analytical Approach is an assessment model that is composed of five steps of formation assessment and en bloc assessment that circulate including step one; context assessment, step two; design assessment, step three; education program revision, step four; execution assessment and step five; outcome assessment.
Second, the areas of assessment for each step of assessment were drawn by applying related literature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and as a result 18 assessment areas.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의 방법
IV. 결과 및 해석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기술교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교사의 역량 개발 요구도
- ADDIE 모형을 활용한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의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 개발
-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기술과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 중학교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ICT 콘텐츠 스캐폴드 개발 모형 연구
- 공학 인재개발을 위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설계 연구
-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 발명 문제 해결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EEG 활성도
-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