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DDIE 모형을 활용한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의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 개발
이용수 359
- 영문명
- Development of Solar Generator for Instruction of Electronic-Mechanical Technology unit by ADDIE Model of Technology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방희(Bang-Hee Kim) 우상호(Sang-Ho Woo) 김진수(Jin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1권 제1호, 171~1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기술?가정과의 ‘전자 기계 기술’단원에서 태양광 발전에 대한 인식과 수업 목표의 효과적인 달성을 위해 활용 가능한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ADDE모형에 의한 개발 과정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이 연구에 의한 개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발된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의 구성은 수업용 태양광 발전기, 학습지도안, 학생 활동지. 수업용 PPT자료이며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을 하였다. 둘째, 개발된 수업 자료를 이용하여 예비 수업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실제 수업 적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진단하고 수정?보완사항을 확인한 후 수업 자료를 개선하였다. 셋째, 학습자용 평가지를 통해 수업 자료의 효용성 및 자료의 적절성을 평가해 본 결과는 태양광 발전에 대해 높은 흥미와 만족도를 보였으며, 학습 효과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가 및 동료교사에 대한 평가룔 통해 수업 자료의 타당성, 보완 및 개선점을 파악하고, 개선 사항을 바탕으로 개발된 수업 자료를 수정?보완하여 수업에서의 활용도를 향상시켰다.
다섯째, 제작한 태양광 발전기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변인을 조절하며 발전량을 측정해 봄으로써 태양광 발전의 발전 효율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에 대해 인식하고, 발전 효율 향상 방안에 대한 창의적 사고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fficiency of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as an instructional material which can be used in Electronic- Mechanic Technology unit-revised curriculum in technology-home economics(2007). A development model to carry out this study is ADDIE model which is progressed analysis, design,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nd the validity of instructional material was evaluated by a colleague teachers and professor group, and find the effect such as satisfaction and interesting by students. The result of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positions of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as an instructional material ar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or for instruction, teaching-leaming guidance plan, learning activities, power-point presentations. Later, it was applied to the authentic instruction. Second, based on developed instructional material, the teacher executed a preliminary instruction, diagnosed problems that can occur authentic instruction, and improved the instructional material. Third,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 learners showed a strong interest and satisfaction in the solar photovoltaic power generation. Forth, the teacher found the supplementary and improving factors of the instructional material that was evaluated by a colleague teachers and professor group, and applied them for enhancing the utility. Fifth, by measuring the electricity generation while controlling three variables, the students recognized various factors to affect generation efficiency and cultivated their creativity to improve the generation efficiency.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기술교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교사의 역량 개발 요구도
- ADDIE 모형을 활용한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의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 개발
-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기술과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 중학교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ICT 콘텐츠 스캐폴드 개발 모형 연구
- 공학 인재개발을 위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설계 연구
-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 발명 문제 해결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EEG 활성도
-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