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이용수 88
- 영문명
-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for Junir High School Students After-school Activities using CNC Milling Model
- 발행기관
- 한국기술교육학회
- 저자명
- 홍용성(Yong-Sung Hong) 은태욱(Tae-Uk Eun) 김진수(Jinso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기술교육학회지』제11권 제1호, 145~17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을 위한 CNC 밀링 모형 활용 학습을 통하여 전기, 전자, 기계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실천적 학습 경험과 기술적 조작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수업자료를 개발하는데 있다.
수업자료 개발을 위하여 ADDE 모형의 절차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거쳐서 수업자료를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수업자료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첫째, 이 수업자료는 중학생들의 자동화 기술에 대한 흥미와 호기심을 충족시켜주고, 자동화 기술에 대한 기초 지식?기능?태도를 습득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둘째, 이 수업자료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방과후학교에서 20시간 활용할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융통성있게 적용할 수 있다. 셋째, 이 수업자료의 내용 구성은 CAD활용, CAM활용, CNC 밀링 활용의 3가지 주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주제별로 세부학습내용과 예제로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넷째, 개발된 수업자료는 계발활동, 창의적 재량활동, 기술가정교과 등에서도 자동화 기술의 이해를 위한 체험활동 수업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 materials in order to understand electricity and mechanical equipments for students and provide them with the technical experience through practical learning using CNC milling model in After-school activities. The material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ADDIE model (Analysis - Design - Development - Implementation - Evaluation), the teaching materials under this study have some distinct features as follows.
First of all, these materials can stimulate students interest in automation technology and help them acquire the basic knowledge, functions and attitude on it.
Secondly, the materials were designed for th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and consist of 20 hours lesson plans in After-school activities, and these can be applied flexibly according to the different situations. Thirdly,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mposed of three main areas - the use of CAD, the use of CAM, and the use of CNC milling. And for each area, there are detail learning contents and exercise questions. Fourthly, these developed materials can be used in Club Activities, Creative Discretion Activities, or in Technology & Household Management classes to understand the automation technology easily.
목차
국문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2009 개정 교육과정이 기술교과에 미치는 영향과 기술교사의 역량 개발 요구도
- ADDIE 모형을 활용한 ‘전자 기계 기술’ 단원의 태양광 발전기 수업 자료 개발
- 기술 교육 연구 동향 분석-한국기술교육학회지를 중심으로
- 기술과 수업에서 교사의 교과교육학지식에 관한 사례연구
- 중학교 기술교사의 학습공동체 활동과 교수역량의 관계
- 인지적 도제학습 기반 ICT 콘텐츠 스캐폴드 개발 모형 연구
- 공학 인재개발을 위한 공학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의 설계 연구
- 중학교 방과후학교 체험활동 수업을 위한 CNC 밀링 모형 수업자료 개발
- 발명 문제 해결 사고 과정에서 나타나는 고등학생의 EEG 활성도
- Technology Education Teachers Beliefs-Transition across 40 Years in the United States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