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식민지 공공성과 3.1운동 - 의암 손병희를 중심으로 -

이용수 215

영문명
March 1st Movement and the colonial publicness - Focused on Eui-Am Son Byong-hi -
발행기관
영남퇴계학연구원
저자명
야규 마코토(柳生眞)(Yagyu Makoto)
간행물 정보
『퇴계학논집』제24권, 145~16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6.30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3.1독립운동에서 민족대표 33인이 모두 종교인이라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종교인들이 3.1운동을 주도하게 됨으로써 그 독립운동은 기타의 독립운동과 다른 독특한 색채를 띠게 되었다. 시기적으로 앞선 독립선언서(무오독립선언서, 2.8독립선언서)와 비교해 볼 때, 3.1독립선언서에서는 우리는 남(일본)을 탓하거나 따지는 겨를이 없고, 우리 소임은 다만 자기의 건설에 있을 따름이지 결코 타자를 파괴하는 데에 있지 않다고 말한다. 그리고 조선 독립이야말로 삿된 욕심에 끌리고 낡은 사상에 얽매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잘못된 길에서 벗어나게 하고 올바른 길로 돌아오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하는 점이 눈에 띈다. 또 하나 3.1독립선언서에서는 조선 독립을 단지 조선과 일본만이 아니라 한⋅중⋅일을 아우르는 동아시아 전체의 흥망이 걸린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는 점도 중요하다. 그것은 3.1운동이 단순한 민족주의 ‧ 국가주의 차원의 운동이 아니라 세계적 시야를 가진 운동이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 글에서는 3.1독립운동을 공공성의 시각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공공성이란 자유롭고 평등한 인민의 공개적인 의사소통의 절차를 통해 공공복리를 논의하는 데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그것을 가능케 하는 시민사회는 근대 법치국가를 전제로 존재한다. 하지만 식민지 공공성은 오히려 정상적인 시민사회가 성립되지 않고 법은 있어도 원주인이 아니라 식민자(植民者)의 이익을 위해 존재하는 곳, 따라서 통상적인 공공성이 성립되지 않는 데에 나타난다. 식민지 공공성은 실체가 아니라 ‘국가’나 ‘민족’과 같은 가치에서 무시당한 잔여(殘餘)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것을 가리키는 비유적인 표현이다. 그리고 식민지시대 한국의 종교계야말로 전형적인 식민지 공공성의 영역이었다. 한일합방 이전부터 천도교, 기독교 등 각 종교에서는 교육, 의료, 언론, 출판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고 있었다. 합방 후에도 총독부는 (엄한 감시와 통제를 가하면서도) 종교의 자유를 일단 인정했다. 바로 그 식민지 공공성 영역으로서의 종교가 3.1운동 때에는 독립운동을 통해 식민지 공공성을 진정한 ‘공공성’으로 키워나갔다. 그리고 그것은 한 민족이나 국가 차원으로 그치지 않고 범아시아의 연대, 더 나아가서는 세계평화까지 시야 안에 둔 것이었다.

영문 초록

In this article, the 3.1 Independence Movement is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colonial publicness’. The 33 ethnic representatives of the movement were all religionists. This gave unique features to the motion. First, they stress that they are more interested in opening up a new world than in condemning deceit and tyranny of colonial rulers. Secondly, they argued that the independence of Korea was not only a matter of bilateral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but also of the peace and prosperity of Korea, Japan, China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nd the whole world. Thirdly, it emphasized the dialogue between compatriots, the Japanese Empire, and the reason and conscience of the world, rather than the acquisition of the regime by popular pressure and violence. Religion in colonial Korea was placed under the supervision and control of the Governor-General of Korea. However, the Governor-General allowed freedom of religion. Under such circumstances, various religions such as Cheondoism and Protestant were able to continue social activities such as education, speech, publication, and medical care. In particular, Cheondoism had been acting as a spokesman for the people since its predecessor since Donghak age. Religion in colonial Korea was an area of colonial publicness. Generally speaking, publicness is a place for dialogue and discussion that can be established under the guarantee of a modern law-governed state. But ‘colonial publicness’ is not an entity but a ‘metaphor’ of something which occurs in the crack of forces of colony. However, Son Byeong-hi(孫秉熙) and religious leaders did not leave it alone. Through these religious activities and the 3.1 Movement, they sought to sublimate it into a publicness on a national scale. And tried to base this on the Asian publicness and the global one.

목차

1. 서론
2. ‘식민지 공공성’의 영역으로서의 종교
3. 法廷을 公共討論의 장으로
4. 한민족의 공공성에서 동아시아적⋅세계적 공공성으로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야규 마코토(柳生眞)(Yagyu Makoto). (2019).식민지 공공성과 3.1운동 - 의암 손병희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집, 24 , 145-161

MLA

야규 마코토(柳生眞)(Yagyu Makoto). "식민지 공공성과 3.1운동 - 의암 손병희를 중심으로 -." 퇴계학논집, 24.(2019): 145-1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