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사후당 윤백영의 업적 및 한글서예 작품 특징 분석

이용수 125

영문명
A Study on Sahudang Yun Baegyeong’s Achievement and Characteristics of Her Hangeul Calligraphy Works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박정숙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61호, 85~115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7.03.0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글은 창제이후 판본류 필사본류 서간류등 실용적인 목적에 따라 오랜 기간 변형 발전되어 왔으나 순수 서예로서의 작품화에 응용되기 시작한 것은 한국 최초의 미술교육기관인 조선서 화예술회가 창립되고 정규학교 서예교육이 시작된 1911년부터라고 볼 수 있는데, 사후당師侯 堂 윤백영(尹伯榮, 1888∼1986)은 이 시기에 송나라사규영찬(1921)으로 처음으로 작품화함으 로서, 조선시대 실용을 위주로 썼던 붓글씨가 근,현대로 넘어오는 과정에서 한글서예라는 예 술장르로 자리매김한 가교 역할을 하였다. 또한 한글 궁체의 가장 난숙기였던 조선 말기에 태어나 조선시대와 대한민국 시대를 걸쳐 99세를 장수한 시대적 가교 역할을 한 증인으로 궁 중전고와 한글 궁체를 알리고 발전시키는 데 큰 역할과 업적을 남긴 분이다. 윤백영의 업적으로는 첫째, 궁중에서 쓴 봉서 수십 편에 대한 해제를 편지글 끝부분 또는 머 리 부분에 송수신자 이름 및 관계사항, 필사일시, 내용개요 등을 2∼4행정도로 기록하여 남김 으로써, 이름이 기록되지 않아 누구의 글씨인지 알지 못했던 궁중봉서의 필사자를 밝혔다. 둘째, 궁중에서 쓰인 혼수유물인 발기, 마상점, 품목 등에 대한 설명을 붙여 조선 왕조 말년 의 풍속과 궁중유물을 증언하여 조선 왕조 궁중전고(宮中典故)의 산 증인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윤백영의 부친 석촌 윤용구가 중국 역사를 언해하고 필사한 『뎡사긔람(正史紀覽)』 80권 80책 중 6.25사변 중 분실된 제19권의 80장 전체를 77세(1964)에 직접 필사하여 보완하였다. 이러한 업적을 남긴 윤백영의 궁체글씨의 조형적 특징을 분석하여 보면, 장법면이나 결구면 에서도 명필 서기 이씨 등이 필사한 궁중봉서와 같은 장법과 결구법을 구사하고 있으며 글씨 또한 뛰어남을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Hangeul has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forms of block-printing, brush-writing and letters for the practical purpose for a long time since Hangeul was created in 1443, but Hangeul calligraphy has started to be considered as a fine art since 1991, when Joseon Society of Calligraphy and Paintings, which was Korean first educational institute of art, was established, and calligraphy education began in school. Then, Sahudang(師侯堂) Yun Baegyeong(尹伯榮, 1888∼1986) acted as an mediator in the process of changing brush-writing for practical use in Joseon dynasty to Hangeul calligraphy as a genre of art in modern times by making the Book of encouragement of learning by Emperor Injong in Song dynasty (1921) a work of art for the first time. Moreover, since she was born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the court style of Hangeul calligraphy was very mature, and has lived for 99 years until the period of Republic of Korea, she played a pivotal role in introducing the royal life and developing the court style of Hangeul calligraphy. The first achievement of hers was to determine the writers of tens of sealed letters with no name by annotating them. The second was that she explained the artifacts for wedding such as Balgi, Masangjeom and Pummok and attested to customs and artifacts of the court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she could be assessed as a living witness of an authentic precedent of the court. The third was that she wrote and supplemented eighty pages of the nineteenth volume of 『Jeongsagiram(뎡사긔람)』 at the age of seventy seven(1964). 『Jeongsagiram』 was the book of Chinese history interpreted and written in Korean by her father Seokchon Yun Yonggu, but the nineteenth of eighty volumes has been lost during the Korean war. Analyzing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er court style of Hangeul calligraphy, we could find that she had a great command of disposing and structuring like the master calligrapher Scribe Lee’s sealed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정숙. (2017).사후당 윤백영의 업적 및 한글서예 작품 특징 분석. 조형교육, (61), 85-115

MLA

박정숙. "사후당 윤백영의 업적 및 한글서예 작품 특징 분석." 조형교육, .61(2017): 85-11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