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인지발달과 자아 방어기제의 평가도구로서 리빅 정서인지 미술치료 평가도구(LECATA) 사례연구

이용수 237

영문명
The Study on LECATA as Cognitive & Ego Mechanisms of Defense Assessment Tool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이경원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6호, 227~25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19세기 말 지능 및 성격의 평가도구로서 Goodenough의 “Draw-A-Man(DAM)을 시작으로 Buck이나 Machover의 성격검사도구들이 개발된 이후 '투사적 그림검사 (projective drawing)'라는 용어가 등장하였다(신민섭 외, 2003: 16). 임상 심리학 분야에서 반응적 특징과 표현적 특징을 모두 포함한 투사 검사의 발달은 미술치료 분야가 발생하게 된 비옥한 토양이 되었다(Rubin, 2006: 137, 256). 이런 접근방법에 내재한 가설은 피험자가 검사자극에 반응하는 방식에서 자신의 성격이나 갈등, 동기를 드러내고(강차연, 2006: 143), 무의식에 자리 잡고 있어서 직접적인 방법으로는 알 수 없는 중요한 정보를 드러낼 것이라는 점에 있다. 미술표현에 대한 평가는 아동의 심리적, 정서적 성장의 척도가 되는 가치가 있지만(McNeilly, 2012: 230), 평가영역과 관련하여 비판을 받아왔고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주리애(2004: 4)는 그림의 내용중심적 분석은 상당부분 검사자의 직관에 의존하고 있고 해석에서 일치하는 결과를 얻기 힘들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강차연(2006: 145)은 하나의 작품으로는 개인을 이해하는데 무리가 있다는 점을 지적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on Levick Emotional and Cognitive Art Therapy Assessment(LECATA). LECATA is useful in identifying normal developmental levels of emotional coping skills and academic performance in relationship to age. The current LECATA is utilized as assessment tools for the students at Miami-Dade County Public Schools Clinical Art Therapy Program. LECATA has some original characteristics. First, it secure objectivity and minimize the range of mistake as an assessment tools of five drawing task. Second, it is a comprehensive analysis of five drawing tasks based on graphic forms for cognitive and emotional assessment. Two case study on LECATA(pre test- retest after one year) was proved LECATA' utilizing. Ego defense mechanisms of two case was isolation and isolation of affect. Indicators of isolation was objects drawn singly on a page and object drawn without a ground line or a background. Also, indicators of isolation of affect was object drawn in pencil or one color and object drawn with inconsistent or erratic use of color. Finally, this study on LECATA is desired to being utilize LECATA for students' mental health in school system.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경원. (2013).인지발달과 자아 방어기제의 평가도구로서 리빅 정서인지 미술치료 평가도구(LECATA) 사례연구. 조형교육, (46), 227-254

MLA

이경원. "인지발달과 자아 방어기제의 평가도구로서 리빅 정서인지 미술치료 평가도구(LECATA) 사례연구." 조형교육, .46(2013): 227-25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