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예비교사의 ‘미술 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멘토의 인식을 중심으로

이용수 155

영문명
A Study on Preservice Art Teachers’ Art Mentoring Experiences Focusing on Mentors' Perceptions: A Qualitative Approach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안혜리,정윤희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6호, 199~22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우리 사회 내에 멘토링에 대한 관심이 크게 고조되면서, 학습 멘토링, 취업 멘토링, 다문화가정 및 탈북자녀 멘토링, 학교 기반 멘토링, e-멘토링 등 여러 상황에서 다양한 형태의 멘토링이 진행되고 있다. 사전적 의미로 보면, 멘토링은 “경험이 많고 신뢰할만한” 멘토(mentor)가 멘티(mentee)에게 “조언하고 훈육하는 것”(http://oxforddictionaries.com/)을 말한다. 멘토라는 말이 “지혜와 신뢰로 한 사람의 인생을 이끌어주는 지도자”(강준만, 2012: 21)와 같은 현대적 의미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말부터이지만, 멘토링이 기업경영, 사회복지, 학교교육과 같은 여러 분야에서 사회적 제도로 활용되기 시작한 것은 20세기 후반이다(강준만, 2012). 예를 들어, ‘기업 경영’ 분야에서 멘토링은 현직사원이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조직의 문화를 가르치고 체계적인 업무 능력 개발을 돕기 위해서 이루어져 왔고(하정은, 2005; Marquardt & Loan, 2006), ‘사회복지’ 분야에서 멘토링은 위기에 처한 청소년과 성인의 결연을 통해 사회적 취약 계층의 어려움을 돕는 효과적인 제도로 정착 하였다(최선희 외, 2010).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멘토링은 1980년대 이후 국내에 처음 도입되었는데, 특히 외환위기 이후 각 시도 교육청과 지자체 산하 지역아동센터와 청소년 기관을 중심으로 학습 또는 문화 멘토링이 급속하게 확대되어 왔다. ‘교육’ 분야에서의 멘토링은 교사와 학생이 멘토와 멘티 관계가 되어, 교사가 학생을 지원하고 조언하면서 그들의 능력과 잠재력을 개발시키는 과정을 의미한다(Brown, Katz, & Hargrave, 2003, 윤희경, 2012: 270 재인용). 현재 국내의 교육 멘토링은 학교 외부에서 온 대학생 또는 전문가 멘토들이 초·중·고생 멘티를 대상으로 교과 및 특기를 지도하는 형식의 ‘학습 멘토링’이 주류를 이루기 ??문에,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학습 멘토링과 크게 구분하기 어려운 점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2000년대 이후 정규 교사 등의 교내 인력을 활용하여 이루어지는 ‘학교 기반 멘토링’도 증가하는 추세이며(박지연, 2012),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복지 지원사업을 법제화함으로써(초중등교육법 제28조, 시행령 제54조 제3항) 방과후학교에 학교 기반 멘토링을 확대하고 있다. 또한 최근 대학마다 도입·운영하고 있는 재학생 전공지도 및 취업지도를 위한 멘토링(정민주, 2013)도

영문 초록

Recently, mentoring programs have been flourishing in various fields such as industry management, social welfare, and education in Korea. Mentoring refers to what an experienced and trusted adviser advises or trains a younger colleague. Mentoring also has been actively used in teacher education system. Howerever,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connection of art mentoring to Korean teacher education. This study has examined art mentoring experiences of perservice art teachers focusing on mentors' perceptio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implications for future teacher education program by connecting preservice art teachers' educational service activities and art mentoring program. We interviewed seven preservice art teachers who are enrolled in a graduate program in art education, and participated in art mentoring program in an elementray school in Seoul. Using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such as open coding, we obtain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the preservice ar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educational service acitivities as art mentor perceived that there has been differerence between art mentoring and art classes in terms of mentor-mentee relationship; Secondly, the preservice art teachers perceived that art mentoring enhance perservice art teachers’ teaching aptitude and abilities including empathy and patience towards students, acceptance of student-centered art education. Thirdly, the preservice art teachers perceived that art mentoring can increase art mentors' self-effecacy and art mentees' self-esteem. The results has implication for integrating art mentoring into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art teacher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안혜리,정윤희. (2013).예비교사의 ‘미술 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멘토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46), 199-226

MLA

안혜리,정윤희. "예비교사의 ‘미술 멘토링’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멘토의 인식을 중심으로." 조형교육, .46(2013): 199-22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