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동의 미술 정의에 내재된 담론분석:미술교육 방향의 재고

이용수 180

영문명
Discourse Analysis on Children's Definition of Art: Rethinking of the Direction of Art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김미남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6호, 29~4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피어슨(Pearson, 2001)은 아동의 미술활동을 “사회활동의 한 형태(a form of social practice)'로 이해해야 한다고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 관점은 미술교육자들에게 지금까지 우리가 아동미술의 이해를 어떤 방식으로 해왔는지 그리고 아동의 미술활동을 사회활동의 한 형태로 이해한다는 것은 기존의 아동미술을 이해하는 방식과 어떤 다른 접근을 가능하게 하는 지 고민하게 만든다. 19세기 중반 스위스의 교육자였던 루돌프 토퍼(Rodolphe T?pfer)에 의해 아동화의 중요성이 학술적으로 제시된 이후, 아동의 미술활동은 교육학자를 비롯한 심리학자, 예술가들로부터 많은 관심을 받았을뿐만 아니라 인기 있는 연구대상이 되어왔다(Ivashkevich, 2006). 하지만 아동미술의 연구의 역사가 벌써 150년이 넘었지만, 아동의 미술은 유독 전통적인 관점인 발달론, 결정론적 시각으로 여전히 탐구되고 있다(Kim & Kim, 2011; 김미남, 2013). 이런 현상은 전통적으로 아동의 미술작품을 아동 개인의 창작물 또는 아동의 생물학적 발달상태가 반영된 산물이라는 시각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윌슨(Wilson, 2004)은 아동미술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모더니즘적 관점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하며, 아동의 미술활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마치 진공상태에서 아동이 미술작품을 창작한 것처럼 생산자인 아동과 생산물인 그림과 같은 미술작품을 연구하는 대신 작품이 만들어진 사회문화적 맥락을 이해하고 그 맥락과의 관련 속에서 아동과 그의 창작물을 연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socio-cultural value and belief about visual arts are learned and internalized by Korean children. For a long time, children's art-making has been considered as a product of individuals. Therefore, children's art has been understood based on universal developmental information. However, new scholars who are interested in socio-cultural aspects of children's artistic development starts raising questions on this developmental perspective. For example, Pearson (2001) claimed that children's art practice is a social practice. It means that we need to understand children's art practice with in a specific context in which children are engaged in. Through participating in repeated everyday art practices, children can learn social value and belief on art and they produce their art as expected by their society automatically. Therefore, it is important what social value and belief on art Korean children learned and internalized in order to think about the direction of future art education in Korea. For this study, 418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interviewed with a question, 'What do you think art is?' There answers are transcribed after interviews and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discourse analysis which is known as a powerful method to understand what socio-cultural meanings are included in everyday talk people use for a specific theme. From the result of analysis, four meaings were found: (1) Korean children understand mainly as drawing and/or making, (2) Adjective words used for describing the characteristics of art by Korean children shows what school art is and what it aims, (3) Korean children devide art into school art and others, (4) Korean children understand art is for talented artists. From these findings, art educators should consider ways to change children's distorted understanding of art and widen the boundary of understanding art.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미남. (2013).아동의 미술 정의에 내재된 담론분석:미술교육 방향의 재고. 조형교육, (46), 29-49

MLA

김미남. "아동의 미술 정의에 내재된 담론분석:미술교육 방향의 재고." 조형교육, .46(2013): 29-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