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사업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이용수 2

영문명
A Study on Classification of Business Types for Public Design Promotion
발행기관
한국공공디자인학회
저자명
설영동(Yeong-dong Seol) 장영호(Young-ho Jang)
간행물 정보
『공공디자인연구』제13호, 20~29쪽, 전체 10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6.30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오늘날 공공디자인을 빼고서는 공공의 영역과 일상의 삶, 공동체 생활을 생각하기 어려운 시대가 되었다. 다양한 분야와의 연계가 활발해지면서 공공의 정책과 사회의 모든 현상으로 확산되고 있는 기류에 따라 공공디자인은 사업의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개인과 사회의 필요에 따라 수행되는 과정과 결과물의 집합체이면서 궁극적으로는 그 과정과 결과물이 대중에게 사회문화적 경험으로 수용되는 공공디자인사업의 지형을 다차원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사업 유형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목적에 맞추어 선행연구 및 문헌을 고찰하여 공공디자인사업 유형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문체부와 서울시의 프로젝트 분석을 통해 사업 유형을 범주화하였다. 결과적으로 주제적 방식과 실행적 방식의 지향점에 기반하여 가치창출, 문화확산, 역량강화, 기반조성의 4가지의 공공디자인사업 유형을 제시하였다. 실행과 참여, 협력의 다양한 주체들이 공유할 수 있는 공공디자인사업에 대한 이해방식이 마련되어야 하는 시점에서 본 연구가 제시한 보다 포괄적 개념 형태의 사업 유형은 디자인 분야뿐만 아니라 문화, 관광, 복지, 보행, 안전, 보건 등 다양한 분야와의 접목·융합을 촉진함으로써 새로운 영향력을 창출하는 공공정책과 사업의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oday, it is difficult to think of the public sphere, daily life, and community life without thinking of public design. As public design is actively linked and grafted with various fields, it is spreading to all phenomena of public policy and society, expanding the scope of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sent a typology of public design projects by examining the terrain of public design projects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which is a collection of processes and outcomes carried out for the purpose of individual and social needs, and ultimately accepted by the public as a socio-cultural experience. In line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need for research on public design project types was confirmed through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and project types were categorized through case analysis of projects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d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s a result, four types of public design projects are proposed based on the orientation of thematic and practical methods: value creation, culture diffusion, capacity building, and foundation creation. At a time when a way of understanding public design projects that can be shared by various actors in implementation,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needs to be established, the more comprehensive conceptualization of project types presented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direction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policies and projects, as it can be combined and linked to various areas such as culture, tourism, welfare, pedestrianism, safety, and health, as well as the design field.

목차

1. 서론
2. 공공디자인사업에 관한 이론적 고찰
3. 공공디자인사업 유형 분류
4.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설영동(Yeong-dong Seol),장영호(Young-ho Jang). (2024).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사업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공공디자인연구, (), 20-29

MLA

설영동(Yeong-dong Seol),장영호(Young-ho Jang). "공공디자인 진흥을 위한 사업 유형 분류에 관한 연구." 공공디자인연구, (2024): 20-2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