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 교과서 정책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인식

이용수 43

영문명
Perception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on Art Textbook Policy
발행기관
한국조형교육학회
저자명
박소영
간행물 정보
『조형교육』제46호, 121~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3.01.0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교과서는 학교에서 학생들의 교육을 위하여 사용되는 학생용의 서책?음반?영상 및 전자저작물 등을 말한다(교과용도서에 관한 규정, 제2조). 교육과정이 개정되면 학교 현장에서 이를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교수?학습의 주된 도구로서 교과서 개발 계획이 수립되고 구체적인 구분 고시가 이루어진다. 구분 고시는 교육과정이 개정됨에 따라 교과용도서 관한 규정에 의거 각 교과의 교과서를 누가 어떤 절차를 거쳐 개발하고 사용하는가를 결정하는 국가 차원의 정책 행위이다(김재춘 외, 2011). 이 구분 고시를 통해 학교급별, 교과별 교과서의 국?검?인정도서 개발 형태, 분책 또는 합본, 별책 신설 또는 폐지 등을 알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suitability for the needs of textbook users, especially school teachers, about art textbooks, and suggesting the ways to reform the textbook policies. First, whi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high level of dissatisfaction with government-authorized art textbooks, middle school teachers revealed a high level of satisfaction with approved art textbooks. The reason wa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much more difficulty in evaluating and selecting high-quality ones out of many kinds of art textbooks since they have been accustomed to government-copyrighted art textbooks. Second, in terms of combination of art textbooks for two grades into a single volum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that it is not appropriate for elementary school system in which teachers deal with one grade for a year. Middle school teachers, however, presented a positive opinion that it is suitable for the middle school system in which art teachers generally teach across the grades. The policy of combination of art textbooks into a single volume needs to be reconsidered to be effectively applied within the elementary school system. Third,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less regulations for the other physical features except the kinds of paper for art textbooks. They, however, held negative attitudes toward varying textbook sizes and thickness, the increase of art textbook purchasing cost, and the use and keeping of art textbooks. More detail measures concerning the minimum regulations or the categories of autonomy in developing art textbooks need to be provided for complementing the shortcomings.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소영. (2013).미술 교과서 정책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인식. 조형교육, (46), 121-143

MLA

박소영. "미술 교과서 정책에 대한 초?중학교 교사 인식." 조형교육, .46(2013): 121-14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