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이용수 173

영문명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Study of the Lived Experience of Art Therapy Major Master's Degree Program Students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발행기관
한국미술치료학회
저자명
한경아
간행물 정보
『미술치료연구』제22권 제2호, 271~294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5.04.15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이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체험하게 되는 미술작업의 본 질적 의미를 밝히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Max 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적 연구방법론을 취하였다. 본 연 구의 참여자는 모두 15명이었고, 자료 수집은 2013년 8월부터 2014년 4월까지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 하여 12개의 본질적 대주제와 30개의 하위주제를 도출하였으며,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작업 경험 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밑바탕이 되며, 전공생에게 자신을 보다 깊이 이해하고 이전 과는 다른 삶의 자세를 갖게 하는 단초를 제공한다. 둘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치료학 전공생에게 개인적 성 장과 실습생으로서의 자기 각성이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음을 깨닫게 한다. 이러한 체험을 통해 전공생은 개인 적·전문가적 성장을 위해 자기분석이나 개인 미술작업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자발적으로 실천하게 된다. 셋째, 미술작업 경험은 미술작업 과정과 그 안에서 일어나는 역동에 대한 이해를 경험적으로 갖게 한다. 이를 토대로 미술치료학 전공생은 현장에서 실습생이 가질 수 있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더 나아가 전문성을 함양하게 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d the implications of art-making experiences for graduate students in art therapy in the context of 'art therapy classes focusing on art-making.' This study applied Max van Manen's hermeneutic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Fifteen graduate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Researchers conducted in-depth discussions from August 2013 to April 2014 until the data were saturated. The participants derived 12 broad subjects and 30 sub-topics through analysis of materials. Three conclus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the art-making experience based on developing one's identity as a graduate student enables art therapy students to better understand themselves and take a different perspective in life. Second, the art-making experience causes students to realize that one’s personal growth is interconnected with one's professional development. It also provides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discover and pursue personal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on their own through self-analysis and voluntary art-making. Third, the art-making experience enables students to understand the process of art-making. Students can actually practice these practical findings during on-site training as well as overcome any difficulties in the future and continue developing their expertise.

목차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경아. (2015).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미술치료연구, 22 (2), 271-294

MLA

한경아. "미술치료학 전공 석사학위과정생의 ‘미술작업 중심 교과목’ 내에서 미술작업 체험 연구." 미술치료연구, 22.2(2015): 271-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