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墳周土器를 통해 본 5-6世紀 韓日關係 一面

이용수 184

영문명
A Historical Meaning of Korean Cylindrical Pottery Impluencing Japanese Cylindrical Pottery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林永珍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7집, 23~37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삼국시대 한국 서남부지역에서는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들이 고분 장엄구로 사용되었다. 당시 서남부지역의 중심권을 이루고 있었던 나주 반남 일대의 대형 고분에서는 筒A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고 나주 반남 일대를 둘러싼 주변 지역의 토착계 중형 고분에서는 壺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으며 같은 주변지역이라도 일본과 관련된 장고분에서는 筒B形의 분주토기가 사용되었다. 한국 서남부지역에서 사용되었던 이 세가지 유형의 분주토기는 일본 北九州 지역과의 교류 속에서 壺A形, 筒A形, 筒B形의 순으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6세기중엽경이 되면 세가지 분주토기 모두 현지에서는 더 이상 지속되지 못하게 되지만 壺形과 筒A形 두가지 분주토기는 일본으로 파급되었는데 이는 현지 마한계 주민들의 일본 이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마한계 주민의 일본 이주는 그 이전부터 백제의 영역 확장과 관련되어 간헐적으로 이루어져 온 바 있다. 3세기중엽 이후부터 백제에 밀리기 시작하였던 마한에서는 3세기 후엽경 아산만권을 중심으로 일본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졌으며 4세기중반경에는 충청 내륙지역과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일본으로의 이주가 이루어졌다. 6세기중엽경에 나타나고 있는 壺形, 筒A形 분주토기의 일본 파급이 서남부지역 마한계 주민들의 일본 이주를 의미 한다는 것은 일본으로 파급되지 못하고 완전히 단절되는 筒B形 분주토기를 썼던 사람들의 성격을 살펴보면 보다 쉽게 이해된다. 筒B形이 사용되었던 장고분은 거시적으로 보면 大和政權의 일본열도 통합과정에서, 미시적으로 보면 磐井에 의해 北九州 지역이 통합되는 과정에서 밀리게 되었던 北九州 지역의 세력자가 그 주인공인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자신들의 망명지인 마지막 마한지역이 6세기중엽경 백제에 병합됨에 따라 더 이상 피할 곳이 없어지면서 장고분과 筒B形 분주토기를 쓸 수 없게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6세기중엽경 백제의 병합에 따라 서남부지역의 토착 마한세력 일부는 일본으로 망명하였고 나머지 주민들과 일본에서 망명하였던 세력들은 마지막 안식처를 백제에 복속되었다고 본다.

영문 초록

Cylindrical Pottery excavated on/around the mound of tomb is divided into Cylindrical A, Cylindrical B, and jar types, and each type has different origin and developmental process. First, Cylindrical A type primarily found in jar-coffin tombs between the mid-5th and earlier half of the 6th centuries pick up it s idea from Japanese Cylindrical Haniwa, but went through an independent developmental process by adopting local style. Second, Cylindrical B type found in japanese style Key-hole shaped tombs between the late 5th and earlier half of the 6th centuries was a direct imitation of Japanese Haniwa. Third, Jar A type was first developed around the late 4th and early 5th centuries by imitating japanese lar type Haniwa, and then changed to Jar B type and was diffused to japan in the mid-6th century. It is suggested that the users of Cylindrical B type were former powers of northern Kyushu, who escaped to Mahan as exiles to avoid political pressure of the Yamato dynasty or Iwai. This is evidenced by (1) only one Japanese style Key-hole shaped tomb is located vastly, except for Naju area, the political center of Mahan, (2) the burial part was stone chamber with side entrance closely related with northern Kyushu, and (3) Key-hole shaped tombs and Cylindrical B type pottery disappear after mid-6th century. It is also highly possible that some Mahan powers who used Cylindrical A type and Jar 8 type pottery went to Japan as exiles in the process of Baekche s expansion in the mid-6th century.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토기를 중심으로한 고대 한일관계 연구성과
Ⅲ. 분주토기의 연구 성과
Ⅳ. 분주토기로 본 5-6세기 한일관계 일면
Ⅴ. 맺음말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林永珍. (2006).墳周土器를 통해 본 5-6世紀 韓日關係 一面. 고문화, 67 , 23-37

MLA

林永珍. "墳周土器를 통해 본 5-6世紀 韓日關係 一面." 고문화, 67.(2006): 23-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