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錦江上流 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에 대한 硏究

이용수 101

영문명
A Study on the Bronze Age Tombs in the upper Geum-gang river basin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金鎭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7집, 5~22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금강상류 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형식과 구조에 대해 발굴조사된 자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유구는 무덤의 입지와 배치형태, 상석, 묘역시설, 지석, 매장주체부(뚜껑시설, 묘실, 바닥시설)등을 검토하였고, 이러한 각 속성의 상관관계를 통해 무덤을 재분류하였다. 이렇게 정리한 결과 지석묘와 송국리형묘제의 축조방식의 차이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무덤의 각 속성의 상관관계를 통해 이 지역 청동기시대 묘제의 축조단계를 크게 4단계로 설정할 수 있다. Ⅰ단계는 묘역시설과 묘실이 초대형급이며, 묘역시설은 Ala형이고, 묘실은 석곽 Ⅰ형만 확인된다. 이러한 지석묘는 구릉 말단부에서 독립적으로 분포한다. Ⅱ단계는 송국리형 문화가 유입되는 단계이며, 무덤 조성 입지도 평지로 이동된다. 그리고 지석묘의 축조가 급격히 많아져 지석묘가 연접되어 배치된다. 묘실의 위치는 지상이며, 묘실의 형태는 석곽형, 혼축형과 석관형 등 다양해진다. 지석은 지상형의 묘실을 보호하기 위해 등장한다. Ⅲ단계는 송국리형 문화가 중심문화로 등장하는 단계로 무덤은 연접부가된다. 묘실은 지하에 두며 석관형이 증가하나 다양한 형태가 조성된다. 지석묘는 묘역시설과 묘실, 뚜껑시설(개석)에 있어 송국리형 묘제와 유사한 형태로 변화한다. TV단계에는 송국리형 묘제가 중심으로 축조되는 단계이며, 지석묘는 소수만 확인되고, 대부분 송국리형 묘제인 신묘제가 주로 이용되는 단계이다. 따라서 묘제의 입지는 평지에 기존의 묘제와 공존하거나 구룽사면 또는 구릉 말단부에 조성된다. 묘실은 지하에 석관 형과 석곽Ⅱ형이 다수가 확인되며, 뚜껑시설인 개석과 바닥시설이 기존의 지석묘 축조방식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여 준다. 일부 지역에서는 남양리유적과 같이 송국리형 문화가 아닌 점토대토기문화가 지석묘문화와 접목하여 적석목관 묘와 같은 묘제가 등장하는 시기로 파악된다.

영문 초록

This essay attempts to explain the proces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Bronze Age tombs according to the analyses of the archaeological site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It starts with the typological classification of the tombs. The tomb types are examined by the form of a placement, the stone table, graveyard facility, and the form of burial(constructed place and method of the burial, a lid and a bottom facilitiy). Alter it was investigated by the correlation between features and artifacts found. Therefore the analyses show the trait of the constructed methods of the Bronze Age tomb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The results of these investigation and analyses could be summarized in the following as: More than 200 Bronze Age tombs have been found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These tombs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types: Dolmen (Goindol in Korean), the Songgungni-type tomb, and stone cist with stone piling. And the Songgungni-type tombs consist of the stone cist burials, pit tombs with stone covers, a jar coffin tombs. External types of dolmen were classified in a table-type, a korean chess boarding-type, and a cover stone-type. A table-type and a korean chess boarding-type are rarely found. Excepting for some dolmens consist of an individual or collective tomb. And all of those have circular or square stone-paved facilities around the tomb. It is highly likely thar these stone pavements were functioned as a kind of a graveyard. The analyses show that, based on the graveyard plans and spatial distributions of the tombs in the upper Geum-gang liver basin. Burials are divided into several types. Graveyard facilities are mainly divided into individual facility type and collective facility type. And spatial distributions are divided into a square type and circular type. Structural forms of a graveyard facility are classified as summed stone type, the inside stone type and the non-facility type. Tombs are divided in three burial types: the underground type, the ground type, and the semi-ground type. And burial structures are classified by an outer coffin made of a stone type, a cist type, a maxed type, dig a grave type. It seems that, based on ale analyses of a features correlation, spatial distributions, a stratigraphic evidence, and a artifacts unearthed. These burial types are subdivided ill four phases.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the form and structure of burials and artifacts found, This essa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structed methods and processes of the Bronze Age tombs in ale upper Geum-gang liver basin.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입지 분포와 구조적 특징
Ⅲ. 청동기시대 묘제의 변화과정
Ⅳ. 청동기시대 묘제 축조단계 설정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金鎭. (2006).錦江上流 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에 대한 硏究. 고문화, 67 , 5-22

MLA

金鎭. "錦江上流 地域 靑銅器時代 墓制에 대한 硏究." 고문화, 67.(2006): 5-2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