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이용수 184

영문명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심재석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7집, 111~123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박물관은 큐레이터, 관람객, 전시공간, 전시물에 의한 상호관계(interaction) 속에서 존재하는 공간이다. 특히 박물관 공간은 정지된 형태가 아닌 큐레이터가 의도한 전시의도에 따라 관람객들의 동선을 유도하고 전시물과 전시패널 등을 통한 시각적 소통(visual communication)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이러한 시각적 소통을 위해 공간의 배치나 전시물의 배치가 고려되어지며, 동선이 형성되게 된다. 결국 관람객들의 움직임으로 공간의 구성과 전시물의 배치가 이루어지며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하지 않은 전시물의 나열로는 박물관으로서의 제대로 된 기능을 할 수 없다. 관람객들에게 생생한 정보의 전달과 전달된 정보를 통해 나오는 관람객들의 반응을 통해서 박물관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가 평가될 수 있다. 박물관은 단순한 전시를 통한 일방적인 정보의 전달의 단계를 넘어 관람자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들을 제공하는 시대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박물관 속에서 이루어지는 시각적 의사소통에 대한 접근에 대한 시도는 한편으로는 디지털 기술 발달이 가장 주된 이유이다.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는 각종 시각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전시기법과 메시지의 생산과 연구들이 필요하다. 시각적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는 비단 영상매체에 대한 연구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로 생산된 시각적 자료 (visual artifacts)로서 관람객과 큐레이터와의 소통형태로 나타나며 이런 관점에서 박물관 전시에 대한 관심을 보일 필요성이 있다.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연구는 기존에 설치된 키오스크의 스크린 혹은 전시실에 자리잡고 있는 스크린을 통해서 관람객들이 보고 전달되는 콘텐츠에 대한 분석이 새로운 연구과제가 될 수 있다. 전시를 준비하면서 전시실 내에 설치되고 전시내용을 알려기 위해 활용되는 전시패널, 캡션, 포스터, 도록, 그리고 전시보조장치(시청각기자재)와 같이 기존 박물관 전시에 활용되어진 다양한 매체들에 대한 시각인류학의 관점에서 본 해석은 없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의 전시체계와 전시에 활용되어온 각종 매체들을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면서 박물관의 전시가 시각을 통한 소통(communication)의 양식으로 본다면 박물관의 전시를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접근을 시도해 보았다. 시각인 류학의 가장 정제된 정의는 눈으로 보는 모든 것들에 대한 연구이다. 박물관의 전시가 시각을 통한 소통 (communication)의 양식으로 보면서 박물관에서 이루어지는 전시활동에 대한 접근을 시각인류학적인 관점에서 시도 해보았다.

영문 초록

This paper is trying to accommodate visual anthropological meaty to displaying contents of me museum, The museum is composed of curators, visitors, galleries, and artifacts which are constantly having an interaction among them, Especially, me space of me museum is not an inactive per se. Therefore, me space is conducted and controlled by the curator s intention and planning, Also visual communication is being made up between visual factors, i, e. artifacts, pictures, panels and other types of audio-visual devices, A curator is planning and arranging space, artifacts, and the movement line for the visitors, Consequently, the formation of space and me arrangement of artifacts can be made by the movement of me visitors, Simple display of artifacts cannot be a successful exhibition, The authentic meanings and the value of exhibition can be judged by me responses of visitors whose experiences of me vivid communication by looking at the exhibition, The roles of me museum should be changed so mat the demand of audience is beyond one-way traffic rather than two-way traffic which is promptly meets the needs of the times, Thanks to the fast growing information technology, approaches to the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in the museum can be made, This research paper is about the issues of meaning-making in museums through the visual anthropological aspects using visual aids, The visual communication research is focused on not only visual stuffs but artifacts Another type of displaying artifacts in the gallery can be made communication between an audience and a curator, If we consider me museum exhibition is a sort of visual communication process, that can be a new challenge of me reconceptualisation of me museum vs, audience relationship.

목차

요약
Ⅰ. 서언
Ⅱ.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Ⅲ. 박물관의 시각적 전시방식의 현황
Ⅳ. 전시콘텐츠에 대한 새로운 시각인류학적 접근방안
Ⅴ. 결어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심재석. (2006).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고문화, 67 , 111-123

MLA

심재석. "박물관 전시콘텐츠에 대한 시각인류학적 접근." 고문화, 67.(2006): 111-12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