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百濟土器 新器種의 出現과 中國陶磁器의 影向

이용수 324

영문명
The Appearance Of Baekje New Pottery and he effect of Chinese Ceramic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이명엽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67집, 39~69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6.06.30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百濟地域에서는 100여 개체가 넘는 中國 陶瓷器가 출토되었다. 이는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 가장 많이 출토된 것으로, 대개 西晋代에서 隋 ㆍ唐代에 걸쳐 제작된 것들이다. 漢城期 百濟(Hanseong Baekje Period)에서는 東吳末~東晋初에 제작된 施釉陶器를 비롯하여 兩晋代의 磁器들이 수입하였는데, 이 시기는 마침 백제토기에 있어서 신기종이 출현하는 시점이기도 하다. 백제토기 신기종은 백제의 국가성립과정에서 새로운 토기제작기술의 도입과 중국 도자기의 모방으로 출현하게 되었다. 토기 제작술은 중국 군현 특히 낙랑의 토기제작기술의 영향인데, 원삼국 당시 3단계에 걸쳐 유입된다. l단계는 2세기 중반경 타날문토기의 출현으로 녹로성형 기술, 낙랑(계)토기도 함께 유입되었다. 2단계는 3세기 중반경으로 깎기, 마연, 암문등의 제작기술이 유입되며, 마지막으로 313년과 314년 차례로 축출된 낙랑군과 대방군 주민의 유입으로 전반적인 생산기술의 유입이다. 백제국은 3세기 중반경에 있었던 대규모의 전쟁으로 중국 군현 및 중국과의 교역을 독점하면서 고대국가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과정속에서 수입되었던 선진문물은 위세품적인 성격을 내포하고 있어 백제의 국가 지배 방식의 하나로 변경지역의 수장층에게 賜與하여 지배력을 공고히 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변경지역에 해당하는 지역에서는 중국 도자기가 출토되었는데, 이를 반증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치적 의도로 수입된 도자기는 한정된 수량으로 정치적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미흡하여, 백제 중앙 지배층이 의도적으로 중국 도자기를 모방한 토기를 제작하였는데, 이것이 백제토기 신기종이다. 백제토기 신기종은 중국 도자기와 같은 위세품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 도자기와 함께 지방 수장층에게 사여되었다. 이처럼 백제토기 신기종은 백제 중앙의 국가 지배 방식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던 것이다.

영문 초록

Over 100 pieces of Chinese Ceramic were found in the Baekje area. This is the most found anywhere outside of China, and they were mostly manufactured in the Seojin Period to the Su and Dan Periods, During the Hanseong Baekje Period, pottery of the Yangjin Period, including the Shiyu Pottery made during the late Dongoh Period to early Dongjin Period, were imported from China. This coincides with the time when new types of Baekje pottery appeared. The new types of Baekje pottery were brought about through new pottery technology introduced during the Baekje foundation period and through imitation of Chinese ceramic. The pottery skills were influenced by the Nakrang, and were introduced in 3 stages during the Weonsamguk era. During stage 1, revolving skill and Nakrang pottery were impor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Tanalmun pottery of me 2nd century, Manufacturing skills, such as chipping, Mayeon, and Ammun were introduced during stage 2 in the 3rd century Finally, a mass influx of Nakrang and Daebang citizens caused me technology inflow in the year 313 and 314. Baekje established its foundation as an ancient state by monopolizing b-ade with China in the 3rd century During this process, imported Chinese products showed one s power and were provided to heads of border area tribes to strengthen the controlling power Evidences of Chinese ceramic were found in me border areas of Hanseong Baekje, However, there was not enough supply of imported pottery to be used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the central ruling class intentionally produced imitations of Chinese ceramic to use to satisfy their political needs. These imitations are the new types of Baekje pottery. The new type of Baekje pottery, which had the influential characteristics similar to Chinese ceramic, was given to tribal chiefs and was also used for ceremony purposes, As can be seen from above, the new type of Baekje pottery was produced under the ruling methods of the Baekje central government.

목차

요약
Ⅰ. 序論
Ⅱ. 中國 土器製作 技術 및 陶磁器流入
Ⅲ. 百濟土器 新器種 出現과 兩晋 陶磁器의 影響
Ⅳ. 新器種 出現의 意義-맺음말을 대신하여
參考文獻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명엽. (2006).百濟土器 新器種의 出現과 中國陶磁器의 影向. 고문화, 67 , 39-69

MLA

이명엽. "百濟土器 新器種의 出現과 中國陶磁器의 影向." 고문화, 67.(2006): 39-6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