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고적 암치리 지석묘를 통해 본 무묘실 지석묘의 성격

이용수 78

영문명
Characteristic features of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Identifiable through those found in Amchi-ri, Gochang-gun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김선기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56집, 29~58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2.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湖南地方에는 無墓室 支石墓들이 상당수가 발굴되고 있다. 이들 型式을 대체적으로 圍石式으로 분류하기도 하지만, 대형의 上石 아래에 드물게 支石을 배치하는 소위 祭屬이나, 巨石記念物的인 성격으로 보는 형태의 것은 無墓室 支石墓로 구분하여 분류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無墓室 支石墓는 上石이 대형이라는 점과 支石의 수는 4매를 기본으로 하고, 上石이 큰 경우에는 7매의 支石을 고이는 경우도 있다. 支石의 높이는 평균 45㎝로 높거나 柱形의 형태를 보인다는 特徵을 가지고 있다. 고장 암치리에서 祭壇이나 巨石記念物的인 성격으로 볼 수 있는 대형의 上石을 갖고 주변에 6개와 중앙에 1개의 지석을 고인 支石墓가 發握調査되었다. 조사결과 上石 아래 數石의 상면에서는 副葬品的인 성격을 갖는 紅陶片 1점, 無文土器 2개체분, 조잡한 형태의 石斧 1점이 출토되어 이 支石墓는 墓葬的 성격으로 볼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다. 湖南地方에서 이러한 無墓室 支石墓에서 遺物이 출토되는 예는 약 50%에 달한다. 그리고 墓室이 있는 경우에도 많은 支石墓에서 遺物이 출토되지 않는 예가 있어서 無墓室 支石墓를 墓葬的 성격으로 보지 않는 것은 속단이 아닌가 생각된다. 無墓室 支石墓를 墓葬的 성격으로 보았을 때 과연 어떠한 葬法을 사용했는지가 제일 큰 문제가 된다. 그러나 이를 확인할 수 있는 확실한 資料는 거의 없다. 단지 日本 支石墓에서 木棺의 사용 예나 우리 支石墓에 있어서 植墓의 흔적으로 추정되는 예 등에서 木棺의 사용을 추정해 볼 수 있지 않는가 생각된다. 上石 아래의 조잡한 敷石施設은 木棺을 안장한 위에 흙으로 덮었을 가능성도 생각해 볼 수 있게 한다. 이 외에 二次葬이나 火葬法의 사용도 상정해 볼 수 있다. 고창 운곡리 支石墓 上石 아래에서 近代의 甕器 안에 어린이 뼈가 담겨 놓여 있었던 예는 하나의 參考資料가 되지 않을까 생각된다. 이러한 葬法에 관한 문제는 어디까지나 추론에 지나지 않으며, 앞으로 많은 자료가 축적되면 다시 검토해야할 부분이라고 생각하면서 호남지방에서 발견되는 無墓室 支石墓에 대한 몇 가지 문제제기를 해 보았다.

영문 초록

A lot of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have been brought to the light around Honam(southwestern provinces of Korea) area. Even though they are commonly classified as dolmens of surrounding stone type(圍石式), it seems necessary to put under the category of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what can be characterized as so-called megalithic monument or altar with supporting stones arranged sparsely under the colossal cap stone. Most dolmens, basically, have large cap stones with 4 supporting stones, but some of them with larger cap stones have often upto 7 supporting stones. Characteristically, the height of pillar-formed supporting stones is 45㎝ in average. In an investigation into a dolmen which was excavated in Amchi-ri. Gochang-gun together with 6 supporting stones in the circumference and one in the center under the large cap stone believed to be used as altar or megalithic monument. a piece of red burnished jar, 2 pieces of plain coarse ware pottery and one crude-form stone ax were dug out above the flcoring stones under the cap stone, pointing to the probability that these items had been buried at the time of burial and, therefore, the dolmen was definitely a tomb. Considering the fact that articles of the deceased have been found in about 50% of all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excavated in Honam area and there are many cases in which dolmens with burial chamber were excavated with no articles of the deceased, it may be too early to conclude that the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can t be tombs. If we presume that the dolmens without burial chamber are tombs as well, the most critical issue is what kind of burial method was it used. There are almost few data giving any obvious clues to this issue. Judging from some examples of wooden coffins found in the Japanese dolmens and some traces of supports for wooden coffins found in some of dolmens in Korea, we can only assume that wooden coffins might have been used. From rough finishing of flooring stones under the cap stone, we can also suppose that the wooden coffin was covered with clay after it had been buried. It is also possible to presume that there could be the second time burial or cremation. In this sense, we would like to refer you to the child bones contained in a modem pot under the cap stone of a dolmen found in Ungok-ri, Gochang-gun, I hope this paper may just serve to raising some questions as to the dolmens found in Honam area as I think, at this time, we can only presume the way of burial of the old days, therefore, another study would be required after further data could have been collocted to this end.

목차

〈요약〉
1. 머리말
2. 高敞 岩峙里 支石墓의 發掘 成果
3. 無墓室 支石墓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 몇 가지 문제점
4. 湖南地方 無墓室 支石墓의 특징과 성격
5. 맺는말
〈일러두기〉
〈표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선기. (2000).고적 암치리 지석묘를 통해 본 무묘실 지석묘의 성격. 고문화, 56 , 29-58

MLA

김선기. "고적 암치리 지석묘를 통해 본 무묘실 지석묘의 성격." 고문화, 56.(2000): 29-5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