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지역 철기생산의 변천

이용수 221

영문명
A Shift of Iron Production in Kyuoungju
발행기관
한국대학박물관협회
저자명
정영화,김옥순
간행물 정보
『고문화』제56집, 59~91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00.12.31
6,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지금까지 철기문화에 대한 연구는 주로 개시기의 양상과 정치체의 성장과정을 연구해왔다. 그러나 한편 철기는 토기와 마찬가지로 그 지역의 사회적ㆍ자연적환경에 따라 변화를 보이기 때문에, 통시적인 연구와 아울러 지역적 접근의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지역적 접근을 시도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경주지역 철기 개시d양상에 대해서는 그 동안 보충된 조사자료를 토대로 기존의 논의를 재검토하고, 아울러 개시기부터 기술적으로 완성되는 단계까지 경주지역 철기생산의 변천과정을 검토했다. 경주지역 철기유물을 통해서 단계적 설정과 단계별 기술적 특징을 검토해 본 결과, 경주지역의 철기 개시기는 선한식계 단계로 별도의 설정이 가능하다. 이 개시기 철기유물의 반출 유적은 주로 경주의 남동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남동부에서는 또한 이른 시기의 청동유물이 출토되고 있어서 초기 철기유입과 관련성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유적이 대체로 정식조사를 거치지 않아서 명확한 양상을 규명할 수는 없지만, 동일한 단계의 임당동ㆍ팔달동유적 출토철기와 비교 검토한 결과에 의하면, 중서부지방과는 또 다른 기술 수용경로를 가졌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한 결과는 주조철부의 형태와 단조철기의 출토양상이 중서부지방과 다르게 나타나는 현상에 의해 뒷받침된다. 경주지역의 중심부에서는 사라리 130호묘 이후의 제3단계부터 철기가 생산되었다. 사라리 130호묘 이 후 경주주변지역에 형성된 대규모 집단에서 철기 생산력이 증대되기 시작한 현상은 낙랑군의 철수요량의 증가에 의한 영향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경주중심부에서는 3단계부터 철기 생산이 이루어졌다 하더라도 주변지역의 대규모 집단에 필적할 만큼 생산력을 갖춘 것은 아니었다. 한편, 3단계 경주지역의 철기는 형식적, 양식적 속성과 기종 조합상에서 중심 및 주변지역을 상호 비교해볼 때 유사성이 파악됨으로, 생산체계에 있어서는 주변지역과 밀접한 교류가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경주지역의 중심부에서 철기 생산력이 급격히 향상된 시점은 4단계이다. 이 단계는 영남지방 내의 다른 지역집단보다 월등하게 생산기술이나 생산량이 증대되었다. 월성로유적의 목곽묘에서 확인된 엄정난 양의 철기유물이 이를 반영하는 것이다. 이러한 현상은 무엇보다도 낙랑군의 축출과 관련해서, 새로운 격제체제가 재편된 결과로 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e iron culture have been studied mainly about the initial aspect and the growth of polity grossly on the level of the south Korea or the Yeungnam province. But the iron culture is necessary to study by diachronic and regional approach about the artifacts, because production of iron implements is differed according to social and ecological environment in the region. This research have a special meaning in term of applying a new regional approach. Research had attempted to relight the initial aspect and the shift of iron production in the Ky?ngju region through the facts increased till now. In the result that synthesized the technical trait in each phase of iron artifacts, it was found that initial iron culture phase in the Ky?ngju region can isolate the earlier one than initial one defined till now. This initial phase set forth at the southeast Ky?ngju region around B.C. 2C. It is based on the assemblage of bronze artifacts as well as the iron ones characterized as iron culture of the initial phase. In the result that synthesized together with iron artifacts of the other site in the Yeungnam province, initial acceptance aspects of iron culture is differentiate from ones of the center west province. It is based on disagree of the assemblage discovered between both regions. Traits of the initial iron artifacts discovered at Ky?ngju region imply that had performed iron production already at that time. Such a traits can glance through the iron ingot in the artifacts. This productive ability of the iron ingot effected to increase villages engaged in iron production at marginal region of the Ky?ngju. In the center of the Ky?ngju region, the Iron production was commenced in the third phase. That time was when after the Sarari no. 130 tomb, the large iron production communities had been formed in marginal region of the Ky?ngju. The aspect that the productive ability of iron begin to enlarge from this time seems the influences from increasing of the iron material demand in the N?kRang. But at the center of the Ky?ngju, the large settlement was not formed still. In the result, although there was set out iron industry at the center of the Ky?ngju, it is impossible still to produce as much as the marginal large communities. And then, the Ky?ngju region of the third phase had a close interaction between communities that produced iron implements. The evidence could see through the stylistic similarity between the iron artifacts was discovered at sites within the Ky?ngju region. The phase that the productive ability of iron was improved at the center of the Ky?ngju was the fourth one. In this phase, the center enlarged even more in the productive ability of iron than the other regional communities within the Yeungnam province. The evidence could see through extraordinary burying iron artifacts in the tombs of this period excavated at Wolsung-ro site. This aspect resulted in the expulsion of the N?kkang from west-north province and then the reorganization of the economic system in the ChinㆍPy?nhan area.

목차

〈요약〉
Ⅰ. 머리말
Ⅱ. 경주지역 철기의 형태적 특징 및 조합상에 의한 단계 설정
Ⅲ. 단계별 철기 제작기술
Ⅳ. 경주지역 철기생간의 변천과정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영화,김옥순. (2000).경주지역 철기생산의 변천. 고문화, 56 , 59-91

MLA

정영화,김옥순. "경주지역 철기생산의 변천." 고문화, 56.(2000): 59-9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