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삶의 질’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이용수 59

영문명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Version of 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KvSBQOL)
발행기관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저자명
윤진상 국승희 이무석
간행물 정보
『신경정신의학』제37권 제2호, 280~294쪽, 전체 15쪽
주제분류
의약학 > 정신과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1998.03.30
4,6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 적: 정신의학에서는 환자의 주관적 관점에서 삶의 질(quality of life:QOL)을 평가할 수 있는 표준화된 척도 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Dunbar 등이 개발한 스미스클라인 비챰의 QOL척도(SmithKline Beecham‘Quality of Life’ Scale:SBQOL)를 한국판(Korean version of SBQOL:KvSBQOL)으로 표준 화하고자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국내의 정신장애 환자의 QOL 및 치료가 QOL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 는데 응용하기 위한 것이었다. 방 법: 대학생 377명에게 KvSBQOL과 함께 공존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한 스트레스 설문지와 Eysenck의 성격차 원검사를 실시하였고, 구성타당도를 알아보기 위해서 간이정신진단검사의 신체화 증상차원, Beck의 우울척 도, 상태-특성 불안척도, 내-외 통제척도를 실시하였다. KvSBQOL은 세 가지 요소 즉‘현재의 자기’,‘이 상적 자기’,‘아픈 자기’를 가정하여 응답하도록 하였고, 일주일 후 100명을 무선적으로 선발하여 ‘현재의 자기’요소에 관한 KvSBQOL만을 다시 실시하였다. 결 과: KvSBQOL의‘현재의 자기’ 요소 점수는 정상분포였고,‘이상적 자기’의 요소 점수는 유의미한 부적 편 포를 보였으며,‘아픈 자기’의 요소 청수는 유의미한 정적 편포였다. KvSBQOL의 세 요소 점수간에는 유의 미한 차이가 있었다. KvSBQOL의 반분신뢰도는 .83,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84였고, 내적 일치도 Cronbach alpha는 .898로 시간에 따른 안정성과 문항반응의 일관성이 높았다. KvSBQOL의 요소간 거리(이상적 자기와 현재의 자기)와 스트레스 점수, Eysenck의 신경증 차원 점수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외향성 차원 점수와는 부적 상관이 있었고, 신체화 증상, 우울, 외부 통제와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요인분석에 서는‘유능감’,‘정신적 안녕’,‘안정성’,‘신체적 안녕’ 및‘활력’의 5개 요인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설명변 량은 34.24%였다. 동시회귀분석 결과, 신체화 증상, 우울, 불안 및 외부 통제의 심도가 KvSBQOL의 5개 요인 각각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KvSBQOL의 신뢰도와 타당도는 높았다. 이는 KvSBQOL이 정신과적 장애를 가지고 있는 환자들의 QOL 을 측정하는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아울러 KvSBQOL의 적용 대상의 범위가 논의되었으며, KvSBQOL을 환자에게 적용하는 실용성과 관련하여 세 가지 정신상태 모두의 QOL를 평가하기보다는‘이상 적 자기’와‘현재의 자기’의 요소거리만을 사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The SmithKline Beecham ‘Quality of Life’ scale(SBQOL) by Dunbar et al. was developed in an attempt to produce a valid scale which would be justice to the complexity of human experience which constitutes perceived quality of lif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verify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BQOL(KvSBQOL). Methods:KvSBQOL was administered to 377 university students. Subjects were asked to rate the same 23 items in the aspect of three states, i.e., ‘self now’-as they felt at present;‘ideal self’-how they would feel as their ideal person;‘sick self’-how they would feel as a person who is sick or unwell. The distribution and the differences of KvSBQOL for three mental sets, as well as the splithalf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internal consistency for the self now were assessed. For the evaluation of concurrent validity, the Stress Questionnaire(SQ) and Eysenck’s Personality Questionnaire( EPQ) were employed as the external criterion. Construct validity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element differences and the scores of other scales:Somatization (SOM) of SCL-90-R(Symptom Checklist-90-Revision), Beck Depression Inventory(BDI), Stait-Trait Anxiety Inventory(STAI)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I-E Scale). And then, common factor analyses with varimax rot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carried out. Results:The element score of self-now was normally distributed, that of ideal self was significantly negatively skewed, and that of sick self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skewed. The significant interelement differences(ideal self/self now, ideal self/sick self, self now/sick self) were found. The splithalf reliability(.83), test-retest reliability(.84), and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alpha, .898) were found to be high. The inter-element distance(ideal self and self now) of the KvSBQOL scor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SQ score and neuroticism score of EPQ, while negatively correlated with extroversion score of EPQ. The inter-element distance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OM of SCL-90-R, BDI, STAI, I-E Scale scores. Factor analysis of 23 items resulted in a five factor solution accounting for 34.24% of total explained variance. The five factors were interpreted as competence, psychological well-being, stability, physical well-being, and activity. The severity of somatization, depression, anxiety and external control contributed to five factors of KvSBQOL. Conclusions:These findings confirmed the the high reliability and validity of KvSBQOL and suggest the possibility that KvSBQOL could be a useful measure of QOL in patients with psychiatric disorders.

목차

서 론
연 구 방 법
연 구 결 과
고 찰
참 고 문 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윤진상,국승희,이무석. (1998).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삶의 질’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7 (2), 280-294

MLA

윤진상,국승희,이무석. "한국판 스미스클라인 비챰‘삶의 질’척도에 관한 예비연구." 신경정신의학, 37.2(1998): 280-29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