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後期舊石器革命”再考 : 現生人類進化의 行爲·文化的背景

이용수 290

영문명
The Upper Paleolithic Revolution Revisite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성춘택(Chuntaek Seong)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77집, 191~221쪽, 전체 31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6,5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현생인류(現生人類)의 기원과 진화, 확산은 고고학과 인류학, 그리고 유전학, 진화생물학, 진화심리학 등 많은 학문의 공통 관심사이다. 최근에는 DNA 연구의 진전에 힘입어 일반 대중의 관심도 높다. 그러나 이 같은 관심은 한편으로 지나치게 단순한 시각이 유행하는 배경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주로 유럽의 자료에 치중한 연구들은 단선적이고도 급격한 변화를 강조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연구에 따르면 현생인류는 200,000~150,000년 전 아프리카, 구체적으로는 동(東)아프리카에서 기원하였다. 다만 약 50,000년 전까지도 성공적으로 아프리카를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약 30,000~25,000년 전이 되어서야 해부학적으로, 그리고 문화적으로도 완벽한 현생인류로서 후기 구석기시대의 본모습을 갖춘다. 현생인류가 각지로 확산하면서 기존 집단과 어떠한 관련을 가졌는지 하는 문제는 논란의 핵심이다. 여전히 많은 문제가 풀리지 않고 있지만, 이 역시 단순한 시각보다는 지역적 조건에 따라 대체(代替, replacement)와 함께 어느 정도의 동화(同化, assimilation)가 있었을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 특히 현생인류 및 후기 구석기 문화의 성공적이고도 광범위한 확산을 설명하며 단순히 생물학적인 우수성만을 강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사회인구적 시각에서 설명하는 것이 더 설득력 있고 자료에도 부합한다. 행위적이고 문화적인 요인이야말로“인류혁명(人類革命)”또는“후기 구석기 혁명”이라 불리는 인류사의 전환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것이다.

영문 초록

Fewer topics in paleoanthropology have drawn more intense debates than the emergence and dispersal of modern humans and the behavioral transition toward the Upper Paleolithic. Recent advances in mtDNA research have provided clues to many unresolved questions regarding the issue. Nevertheless, the plethora of recent articles and books promote a narrow and simple perspective in which emerging, more capable modern humans in Africa dispersed into the rest of the world and replaced existing archaic humans. Recent studies show that anatomically modern humans first appeared about 200 to 150 ka most likely in East Africa. Many African archaeological sites suggest that traces of behavioral modernity, including bone artifacts, composite tools, symbols and personal ornaments, go back to 80~60 ka. But anatomically modern humans only began their successful dispersal out of Africa about 50 ka. Fossils and lithic assemblages until 30 to 25 ka still contain “archaic”features, which suggests complex aspects of the dispersals and establishment of the Upper Paleolithic. The successful dispersal can not be fully explained if we only focus on the biological superiority of the modern humans over archaic Homos. Rather, we need to consider the social and demographic factors behind the dispersals, which in turn indicates that behavioral and cultural aspects played a key role in the transition known as the“ human revolution”or“ Upper Paleolithic revolution.”

목차

Ⅰ. 머리말
Ⅱ. 現生人類의 起源과 進化
1. 種分化에 대한 異見들
2. 現生人類의 進化
3. DNA 硏究와 現生人類
4. 現生人類의 進化와 文化變化
Ⅲ. 後期舊石器文化의 起源
1. 􆪧爲的現生人類
2. 다시 아프리카로
Ⅳ. 現生人類의 行爲및 文化的背景
1. 文化變化의 始點
2. 現生人類의 文化的背景
3. 現生人類의 行動生態學: 社會人口的變化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성춘택(Chuntaek Seong). (2010).“後期舊石器革命”再考 : 現生人類進化의 行爲·文化的背景. 한국고고학보, 77 , 191-221

MLA

성춘택(Chuntaek Seong). "“後期舊石器革命”再考 : 現生人類進化의 行爲·文化的背景." 한국고고학보, 77.(2010): 191-22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