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이용수 365

영문명
A Study on the Mica Excavated from Silla Ancient Tomb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은경(Eunky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77집, 127~164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운모(雲母)는 일제강점기에 이미 보고된 바 있으나 유물로서의 인식이 약했기 때문에 그 세부적인 정보는 극히 적었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연구도 그 자체의 출토 상황이나 구체적인 분석 대신 신선사상(神仙思想)과 관련된 선약(仙藥)이라는 해석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최근 신라고분을 중심으로 출토사례가 증가함에 따라 운모의 고고학적 분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글의 목적은 신라고분에서 출토된 운모를 중심으로 형태적 특징 및 부장 의미에 대한 검토를 시도해보는 데 있다. 신라고분에서 출토된 운모는‘가공품’과‘비가공품(원석)’으로 구분되며, 그중‘가공품’이 다수를 차지한다. 가공된 운 모는 제작기법과 형태적 특징에 따라 시간성, 지역성을 반영하며 세트화 현상을 통해 의도적이고 계획적인 사용 예를 확인할 수 있다. 운모는 주사(朱沙), 돌절구 등과 같이 신선사상으로 거론되는 유물과 공반되지만, 수하식이 탈락된 이식, 수식 등과 더 깊은 관련성을 보이고 있어 장신구의 한 형태로 기능하고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고분에서 출토된 운모는 여러 민간신앙의 한 측면에서 다종다양한 형태로 고분에 부장된 의례행위의 소모품이며, 금·은제 장신구를 대 용한 착장형위세품(着裝型威勢品)인‘장식운모(裝飾雲母)’로 기능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운모는 황오리 14호 1·2곽 출토품이 현재까지 확인되는 가장 이른 예이며, 원석과 가공석이 주부곽에 나누어 부장된 것으로 보아 이미 체계를 갖춘 부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우총을 마지막으로 운모의 부장이 사라지게된다. 이는 석실묘의 도입과 불교의 성행에 따른 매장관념의 변화에 기인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considered the mica having been regarded as a sort of a panacea and tried to review its significance in ancient tombs in the three period kingdoms when being buried diachronically and synchronically. This study focused on Silla ancient tombs excavated articles in a wide variety. The mica excavated at Silla ancient tombs is mostly processed goods ‘produced in a fixed form with a fixed purpose’. Generally mica in Yuyeop (􆩟􆨿) type and Malgak inverted triangle (抹角逆三角) type is transforming into Simyeop (心􆨿) type mica. The fact that there is not so much difference of processing technique according to each form seems to originate from the role of mica as an accessory in the same manufacturing environment. Though excavated at the same ancient tombs, mica is classified into various groups by size and the association phenomenon is identified among mica with almost same form and size. Usually 2~5 pieces forms a set. The mica excavated at ancient tombs is a ritual accessory added with Taoism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ompany relics and is buried in the form of ‘mica accessory’or ‘mica ornament’. The mica ornament kind shows the social status of the buried according to the pattern and is buried in ancient tombs even with relatively low rank. It is a mounted prestige goods as being buried in place of golden and silver prestige goods, but it is understood as the concept of prestige goods possessed relatively widely. The mica excavated at Silla ancient tombs shows the most abundant case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he earliest case is excavated goods at Hwango-ri No. 14, 1st and 2nd coffin. It suggests that in Gyeongju region, mica burial equipped with somehow system was carried out in early 5th century and as time passed by, burial expanded from large-size red-wooden coffin ancient tombs to mid- and small-size ancient tombs. The excavated mica suggests that mica accessories and ornaments were used for golden and silver accessories or attached to accessories. The period of 6th century and the case of mica burial is gradually reduced. In Gyeongju region, the aspect of burial similar to stage early 5th century is continued and even buried in part in stone ancient tombs. However Houchong (壺􅀠塚) was the end and no more mica was buried in Gyeongju region at around middle of 6th century. Therefore the appearance of mica excavated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can be traced to the period from before and after the Christian era to middle and end of 6th century. It is judged that the reason mica burial is reduced is originated from the change of tomb system to horizon entrance style stone-chamber (橫口) style and horizontal-digging stone-chamber tomb (橫穴) style and the change of concept on burial according to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It is estimated, however, through the flower pattern mica ornament excavated in Wangheungsaji (王興寺址) in Buyeo that even after Buddhism was introduced, mica ornament was used continuously. It is, however, very likely to be used as a mere ornament as the meaning changes from relics related with the existing Taoist hermit thought.

목차

Ⅰ. 머리말
Ⅱ. 古墳出土雲母에 대한 檢討
1. 雲母의 鑛物學的特徵
2. 雲母의 出土樣相
Ⅲ. 雲母에 대한 分析
1. 加工雲母와 非加工雲母의 區分
2. 屬性分析
3. 型式設定과 그 特徵
Ⅳ. 雲母에 反映된 新羅人과 新羅社會
1. 雲母의 用途와 所有者의 社會的位相
2. 時期別雲母副葬樣相의 變化와 意味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Eunkyung Kim). (2010).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한국고고학보, 77 , 127-164

MLA

김은경(Eunkyung Kim). "新羅古墳 出土 雲母의 性格." 한국고고학보, 77.(2010): 127-16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