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忠淸北部地域 原三國時代土器 相對編年 :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이용수 481

영문명
A Chronology of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in Northern Chungcheong: Cheongju, Cheongwon and Cheonan Areas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장석(Jangsuk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77집, 47~96쪽, 전체 5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8,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편년에는 원저단경호(圓底短頸壺)와 발형토기(鉢形土器)의 속성분류(屬性分類) 및 형식설정(型式設定)을 통한 교차편년(交叉編年) 또는 단위유적 내에서의 순서배열법(順序配􆨴法)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본고에서는 현재의 중부지역 원삼국시대 편년에 사용되는 원저단경호의 주요 속성들이 아직 교차편년에 필요할 만큼 시간성 확보가 되어 있지 않다는 점을 지적하고, 충청북부지역 원삼국시대의 대규모 분묘유적을 대상으로 단위유적 내 편년을 시도한다. 본고에서는 토기에서 추출된 연속형 변수를 통계적으로 처리하여, 동일 구역 또는 분묘 내에서 최대한 시간적 동질성을 확보할 수 있는 변수를 추출하고, 이를 통해 단위유적 내 토기형태의 시간적 변화상을 추적하였다. 분석 결과, 淸州지역 원저단경호는 구연부가 상대적으로 낮아지고 동체의 팽만도가 감소하면서 부장 토기가 소형화되는 방향으로, 발형토기는 기고가 낮아지는 방향으로 그 형태가 변화함을 알 수 있었다. 淸原梧倉지역에서는 원저단경호 구연부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높아지다가 저부의 형태가 평저화하는 방향으로, 발형토기의 저부가 상대적으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변화가 진행됨을 감지하였다. 天安지역에서는 원저단경호의 목지름이 상대적으로 넓어지면서 소형토기의 부장이 늘어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각 지역 편년결과를 바탕으로, 淸州지역의 원삼국시대는 4개의 분기로, 淸原梧倉지역은 3개의 분기로, 天安淸堂洞유적은 크게 2개의 분기로 세분할 수 있었다. 또한 청동제 마형대구는 이 지역 원삼국시대에서 비교적 늦은 시기에 유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충청북부지역 토기변화상은 지역에 따라 상이한 방향으로 진행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볼 때 현재의 편년이 기반하고 있는 교차편년의 타당성은 재고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Chronologies of the central Korean Proto-Three Kingdom Period have been based upon either cross-dating or occurrence seriation of round-bottomed jar and vases from burials. Criticizing that temporal aspects of major attributes that the existing chronological schemes paid attention have not been rigorously tested, this paper attempts to provide a new chronology of burials in northern Chungcheong. Continuous variables of vessels were measured and quantitatively analyzed in order to detect attributes that could maximize contemporaneity among vessels found in a burial, and these attributes were used to monitor temporal sequence of burials in each area. Analysis shows that (1) round-bottomed jars from Cheongju area gradually decreased in neck height and became slimmer, and vases became shorter, (2) in Cheongwon, neck of round-bottomed jars became longer and base of vases increased in diameter, and (3) neck diameter of round-bottomed jars from Cheonan increased through time. Based on analytical results, the Proto-Three Kingdom Period in the area are differently subdivided depending on area – four phases in Cheongju, three phases in Cheongwon, and two phases in Cheonan. Analysis also demonstrates that horse-shaped bronze buckles were used only in late phases. It is suggested that temporal sequence of vessel form changes were not homogeneous throughout the region but varied with area, and thus that validity of cross dating on which current chronologies are usually based be reconsidered.

목차

Ⅰ. 序論
Ⅱ. 圓底短頸壺와 鉢形土器相 對編年 方法論
Ⅲ. 遺蹟別相對編年
1. 淸州地域
2. 淸原梧倉地域
3. 天安淸堂洞
Ⅳ. 遺蹟間比較
Ⅴ.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장석(Jangsuk Kim). (2010).忠淸北部地域 原三國時代土器 相對編年 :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77 , 47-96

MLA

김장석(Jangsuk Kim). "忠淸北部地域 原三國時代土器 相對編年 : 淸州, 淸原, 天安을 중심으로." 한국고고학보, 77.(2010): 47-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