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이용수 384

영문명
The Characteristics and Production Period of Royal Kilns as Evidenced by 17th Century White Porcelain with Inscriptions Focusing on excavated remains related to consumption and product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경중(Kyongjoo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77집, 165~190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0.12.31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조선시대 백자(白磁)를 연구하는 데 있어 17세기는 매우 중요하다. 그 이유는 임진왜란과 정묘호란,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조선시대 사회·문화·경제에 일대 변화가 일어났고, 이러한 변화는 백자생산에도 영향을 미쳐 17세기 백자에서는 15~16세기와는 다른 양상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17세기 관요(官窯)는 관요터에서 출토된 자료 및 문헌에 기록된 관요 이설시기 등의 비교를 통해 대략적인 운영기간을 설정하였다. 하지만 송정동 5호·6호 가마터 출토 자료와 경기도자박물관 소장 김영훈 기증유물, 그리고 도성 안 소비유적에서 출토된 17세기 명문백자의 비교·분석을 통해 17세기 관요 운영시기 설정에 오류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먼저 관요의 운영시기와 관련해서 학동리 1613~1617년, 상림리 1618~1625년, 1628~1636년, 그리고 용인시 모현면 왕산리에서 1626~1627년까지 운영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발굴조사가 이루어진 선동리와 송정동의 경우, 기존자료와 신자료에서 확인된 명문의 비교를 통해 선동리는 1640~1648년, 송정동은 1649~1654년까지 운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유사리는 기존에 알려진 바와는 달리 1655~1664년까지 10년간 운영되었으며, 신대리 1665~1676년, 지월리는 1677년 이후부터 왕실 및 중앙관청에서 사용하는 백자를 생산하였다. 이 외에도 상림리와 선동리의 하한이 1636년과 1648년으로 밝혀짐에 따라 상림리와 선동리, 선동리와 송정동 관요 이설에 따른 운영의 중복시기는 없었다. 다음으로 숫자의 의미와 관련된 해석상의 문제이다. 숫자는 현재까지 명확하지는 않지만 번조할 수량을 뜻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하지만 날짜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初’와‘閏’字가 숫자와 같이 음각된 백자가 송정동, 신대리 등의 생산유적뿐만 아니라 소비유적에서도 출토되었다. 즉‘乙卯閏五十八’은 을묘년(1675) 윤5월 18일을,‘五初三壬􆪕’은 임진년(1652) 5월 초삼일을 의미한다. 또한‘左’·‘右’만 단독으로 음각된 백자가 1640~1648년까지 운영된 선동리 관요뿐만 아니라 송정동 5호·6호 가마터에서도 제작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외에도 철화안료로 굽 안바닥에‘別’과‘左’, 간지(干支) 등이 쓰여진 백자편도 수습되는 점으로 보아 음각 이외의 방법으로도 명문이 쓰여졌음을 알 수 있다. 이렇듯 가마터에 따라 굽 안바닥에 쓰여진 명문이 변화하기는 하지만 임진왜란이 끝나고 백자 번조가 순탄치 못한 상황에서 제작된 백자의 품질 저하방지 및 분실 방지 등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 명문을 새기고자 했던 의도는 변하지 않았다.

영문 초록

New data has confirmed that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Royal Kilns in Tanbeol-dong is 1606~1612, in Hackdong-ri is 1613~1617, in Sanglim-ri is 1618~1625, in Mohyun-myeon Yonginsi is 1626~1627, in Sundong-ri is 1640~1648, in Songjung-dong is 1649~1654, in Yusa-ri is 1655~1664, in Sindae-ri is 1665~1676, and in Jiwol-ri is after 1677. In addition, it has been proven that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Royal Kilns in Sanglim-ri ended in 1636, and in Sundong-ri ended in 1648.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production periods of Sanglim-ri, Sundong-ri, Sundong-ri and Songjung-dong do not overlap. These results also indicate that Royal Kiln sites were moved in the autumn rather than in the spring, and that the same firing sites were used in the spring and autumn seasons. However, the possibility of an interpretative mistake exists sinc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nscription data was not sufficient enough to confirm the specific months of production. There also exists the problem of interpreting the meaning of the numbers which appear in the inscriptions. Until now, although their meaning has not been clearly defined, it has been assumed that the numbers referred to the quantity of the firing pieces. However, white porcelain vessels have been excavated which have inscriptions containing characters such as ‘初’and ‘閏’, which most likely refer to dates, in conjunction with numbers. Such artifacts have been found in both production and consumption contexts in Songjung-dong and Sindae-ri. 乙卯閏五十八 means the year of 乙卯(1675), the day of 18th, and ‘閏’s month of May. Also 五初三壬􆪕 means the year of 壬􆪕 (1652) and the 3rd day of May. Therefore these inscriptions were likely to have been written after glazing. It wa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at, from March to October in the year of 庚寅(1650) and from March to August in the year of 壬􆪕 (1652), white porcelain was consistently produced. This is evidenced by the inscribed dates on white porcelain vessles which were donated by Younghoon Kim, and which were excavated from the 5th and 6th Royal Kilns in Songjungdong. There also exists a document which proves these facts, and which notes that a pottery master went to Gwangju and came back for firing in June, 1649. The presence of such inscriptions indicate that, although porcelain production was carried out in an unstable situation following the Imjinwaeran war, efforts to prevent the production of low quality porcelain and the loss of porcelain vessels continued to be carried out thorough inspection and supervision. This is regardless of the fact that the inscriptions written on the inside of the vessel foot differed according to the kiln. Among white porcelain vessels, those with inscriptions of the sexagenary cycle calender comprise a basic data set which can be used to study the form, patterns and change in pigment of early and later Joseon white porcelain. However, the exact location of the Royal Kiln of Jiwolri in 1680 and its production period have yet to be confirmed. If these missing facts can be confirmed through studies and investigation in the near future, this will bring us closer to understanding the ceramic culture of the Joseon Dynasty.

목차

Ⅰ. 머리말
Ⅱ. 17世紀官窯硏究現況
Ⅲ. 17世紀銘文白磁의 再檢討
Ⅳ. 銘文으로 본 官窯의 運營과 特徵
Ⅴ. 17世紀銘文白磁出土消費遺蹟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중(Kyongjoong Kim). (2010).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한국고고학보, 77 , 165-190

MLA

김경중(Kyongjoong Kim). "17世紀銘文白磁를 통해 본 官窯의 運營時期." 한국고고학보, 77.(2010): 165-19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