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住居址’에서 ‘居住者’로

이용수 274

영문명
From ‘Dwellings’ to ‘Residents’-A Proposition for Household Archaeology in Korean Prehistory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김범철(Bumcheol Kim)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0집, 164~193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고학연구에서 住居資料의 중요성은 달리 강조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한국고고학에서도 주거자료는 편년, 지역성과 문화적 계통성의 파악 등 몇 가지 중요한 문제 규명에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그러한 연구는 질적 성장이나 양적 확장이 어려운 상태에 놓여 있다. 더구나 일부 새로운 시도들도 방법론의 불비나 적절한 연구주제의 창출 미비로 성장의 동력이 미약하다. 본고는 그러한 문제의 돌파구로, 구미 고고학계에서 지난 30여 년간 비약적인 성장이 목격된 가구고고학적 접근을 주목한다. 개괄적이나마 성장의 배경과 중요하게 다루어져왔던 분야 및 초점을 살펴보면, 가구고고학은 일관된 독자적 이론체계를 구비한 새로운 사조는 아니지만 ‘家口’라는 보편적 基層單位에 대한 다각적 접근을 통해 인류의 중요한 변화들을 훨씬 더 역동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통로를 엶으로써 연구영역과 주제를 확장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서구에서 발원한 접근방식에 맞춰가는 것이 우리 고고학의 발전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지만 연구주제의 고갈과 새로운 주제의 모색이 절실한 상황에서 그러한 작업이 현실적 대안으로 나쁘지만은 않을 듯하다.

영문 초록

It seems, in general, not necessary to exaggerate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dwelling data in archaeological research. In Korean archaeology, dwelling data has been used to establish chronological schemes, and to identify spatial variation and cultural traditions. However, recently it has become unlikely for research of this kind to generate new meaningful arguments. Some attempts newly introduced into Korean prehistoric dwelling studies do not seem to have had progressive momentum due to the lack of proper methodology or research themes. This paper, in order to breach the current problems faced by Korean prehistoric dwelling studies, focuses on household archaeology, which has grown dramatically in Western archaeology. A brief review of its development and research topics makes it clear that although household archaeology is not a paradigm with unique theoretical constructs, it is able to produce a myriad of research topics by looking at household-level patterns. I am not, of course, trying to suggest that a mere adoption of approaches originating from Western archaeology can contribute to the progression of approaches in a Korean context. Nevertheless, it can be regarded as a plausible alternative way to address the real-world problems faced by Korean archaeology which is desperate to find new and productive research themes.

목차

Ⅰ. 序論
Ⅱ. 歐美考古學의 思潮와 家口考古學의 발달
1. 過程考古學에서 後期過程考古學으로의 轉移
2. 社會的 主體로서 居住者에 대한 관심의 고조
3. 上向式 接近과 周邊的 觀點의 강조
Ⅲ. 家口考古學의 主要分野와 焦點
1. ‘家口’의 고고학적 정의: 家屋과 居住者의 연결
2. 家口 관련 行爲와 活動의 복원
3. 家口樣相의 변화와 巨視的 변화
4. 家口 間 富와 地位의 차별성에 대한 이해
5. 家口 內部의 力動性 탐색
Ⅳ. 韓國 先史時代 住居樣相에 대한 家口考古學的 理解의 課題
1. 韓國 先史時代 家口樣相 硏究의 현황과 과제
2. 韓國 先史時代 住居樣相에 대한 생산적 연구를 위한 제언
Ⅴ. 結論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범철(Bumcheol Kim). (2014).‘住居址’에서 ‘居住者’로. 한국고고학보, 90 , 164-193

MLA

김범철(Bumcheol Kim). "‘住居址’에서 ‘居住者’로." 한국고고학보, 90.(2014): 164-19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