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주거생활 변화와 지역성의 사회적 의미

이용수 765

영문명
The Social Meanings of Change and Difference in Residential Living during the Bronze Age-Focusing on the data of the Yeongnam region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이수홍(Soohong Lee)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0집, 4~35쪽, 전체 32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6,6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청동기시대 주거의 입지, 기둥열과 노지, 공간분할, 구성원 수, 폐기과정을 통한 사용기간 등 주거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검토하였다. 청동기시대 조기에는 주거가 충적지에 입지하고 전기가 되면 구릉에 입지하는데 모두 대형주거지 2~3동이 하나의 마을을 이룬다. 복수의 노지를 갖춘 전기의 세장방형주거는 개별 노지의 공간이 개별 가족의 공간인데 한쪽 단변 쪽의 저장혈이 있는 공간이 가장의 공간이다. 주거 내의 구성원은 노지 수만큼의 부부와 그들의 자녀들이다. 후기가 되면 주거 규모가 축소되지만 노지의 숫자를 근거로 볼 때 하나의 취락을 이루는 구성원의 숫자가 변한 것은 아니다. 하지만 그러한 취락이 인접해서 분포하는 것이 전기와 차이점이다. 그것은 결국 인구의 증가를 반영하는 것이며 인구의 증가는 위계화의 원인이 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위계화의 궁극적인 배경을 수도작의 확산으로 판단하였다. 그런 과정에서 유력개인이 등장하고 그 유력개인이 잉여생산물을 관리하였을 것이다. 하지만 송국리문화분포권과 비분포권은 저장방식에 확연한 차이가 있었다. 송국리문화분포권이 굴립주나 저장혈 등을 이용한 저장방법을 채택하였다면 비분포권인 동남해안지역은 유력개인에 의해 관리되는 대형주거 내의 대형토기에 잉여생산물을 저장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그러한 저장방식의 차이 역시 수도작의 보급 정도의 차이에서 구하였다. 지형적인 원인으로 수도작이 확산되지 못한 동남해안지역이 밭작물의 비율이 더 높았을 것이고 여러 밭작물은 수확기간의 사이클이 짧아 저장혈이나 고상창고와 같은 별도의 저장시설을 만들지 않았다고 파악하였다. 이러한 저장방식의 차이를 통해 송국리문화 분포권이 위계화가 더 빨리 진행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영문 초록

Information which may be obtained from dwellings, such as dwelling position, post-holes and hearths, spatial division, the number of residents, and the period of use as seen through the process of abandonment, was reviewed in this paper. Although residence size was reduced toward the later period, this does not seem mean that the number of members who formed the community changed,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fire pits. However, the higher density of settlements, compared to the earlier period, suggests an eventual increase in population, this population increase possibly being one cause of emerging hierarchy. The ultimate background of such hierarchy was concluded to be caused by the expansion of wet-rice farming. During this process, powerful heads of clans must have appeared and managed surplus production. However, there was a clear difference in storage method between the Songgugni cultural region and the non-Songgugni cultural region. The Songgugni cultural region adopted a method of storage which took place besides individual residences using ‘posts dug into the land’ or storage pits. In contrast,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which comprise the non-Songgugni cultural region, were identified to have stored surplus productions in large earthenware jars in the large residences of the powerful heads of clans. Such a difference in a storage method was observed to be related to the extent to which wet-rice farming was practiced. In the southeastern coastal areas, the percentage of dry field crops would have been higher since wet-rice farming had not expanded into the region due to geographical reasons. In addition, it was assumed that as the various dry field crops have a short harvesting cycle, additional storage facilities such as storage pits or warehouses would not have been required. It was concluded that due to such differences in storage method, the development of social hierarchy would have progressed faster in the Songgungni cultural region.

목차

Ⅰ. 머리말
Ⅱ. 주거 축조~폐기의 과정에서 얻을 수 있는 정보
1. 입지선정
2. 기둥열과 노지
3. 주거 내부의 공간분할
4. 구성원 수
5. 폐기
Ⅲ. 생산과 소비형태의 변화
1. 조기~전기
2. 후기
Ⅳ. 주거생활 변화의 사회적 의미
1. 입지의 변화
2. 취락에서 주거 구성의 변화
3. 주거 면적의 축소와 주거 수의 증가
Ⅴ. 저장시설의 유무에 따른 후기의 지역성
1. 대형주거의 존재
2. 개별주거에서의 저장기능 축소
3. 저장시설의 유무에 따른 위계의 차이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수홍(Soohong Lee). (2014).청동기시대 주거생활 변화와 지역성의 사회적 의미. 한국고고학보, 90 , 4-35

MLA

이수홍(Soohong Lee). "청동기시대 주거생활 변화와 지역성의 사회적 의미." 한국고고학보, 90.(2014): 4-3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