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이용수 1010

영문명
The Formation of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in Kyeongju and the Location of the Silla Royal Tombs of the Maripgan Period
발행기관
한국고고학회
저자명
최병현(Byunghyun Choi)
간행물 정보
『한국고고학보』제90집, 120~163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4.03.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경주 월성북고분군은 동쪽 인왕동지구에 원삼국시대 후기의 목곽묘들이 축조되면서 서기 2세기 후반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고분군은 단계적으로 서진하였는데, 신라조기 말인 4세기 전엽에는 월성로 서쪽까지, 신라전기 초 적석목곽분이 축조되기 시작하는 4세기 후엽에는 지금의 대릉원지구 동단에 이르렀다. 이후 지상에 봉분을 남긴 적석목곽분들이 그 동서로 축조되어 오늘날까지 남아 있다. 월성북고분군은 적석목곽분이 축조되기 시작할 때쯤에 대릉원지구를 포함한 북쪽의 A군과 그 남쪽의 B군으로 분화되었으며, 대형분들은 주로 A군에 축조되었다. A군에서 대형분 밀집구역의 동쪽에 자리한 초대형분들의 분포는 기획에 의한 의도적인 배치의 결과로 보이는데, 그 중심에 황남대총이 있다. 경주 최대의 고분인 황남대총은 신라 17대 내물왕릉이며, 그 앞 동쪽으로는 그의 父와 祖父의 묘가 대형의 高塚으로 축조되었는데, 『삼국사기』의 기록으로 보아 이들은 내물왕의 장자인 눌지왕이 435년에 修葺한 園陵일 것으로 판단된다. 황남대총과 그 남북에 위치한 고분들은 크게 3개의 지군을 이루고 있는데, 북쪽의 노서동 125호분부터 시작되는 일군(A-1군), 황남대총과 그에 근접하여 있는 일군, 그리고 그 남쪽의 황남동 106호분(전 미추왕릉)부터 황남대총 서쪽 천마총까지의 대형분들 일군이 그것이다. 이 중 노서동 125호분은 19대 눌지왕릉으로 추정되며, 그 서쪽으로 조성된 A-1군은 그의 직계 후손들의 고분군으로 여기에 20대 자비왕릉과 21대 소지왕릉이 포함되어 있을 것이다. 황남대총을 가운데 두고 노서동 125호분과 대칭으로 남쪽에 위치한 황남동 106호분은 지증왕의 祖父인 내물왕자의 墓로 추정된다. 여기서 시작하는 남쪽 일군은 그의 직계 후손들의 고분군일 것이며, 남쪽 일군에 속하면서 황 남대총 바로 서쪽에 위치한 천마총은 22대 지증왕릉으로 추정된다. 황남대총과 근접하여 일군을 이루고 있는 고분들은 왕위를 계승하지 못한 내물왕자와 그 후손들의 무덤들일 것이다. 이와 같이 월성북고 분군의 대형분들은 내물왕과 그에서 분지된 소집단들에 의해 형성된 것이다. 월성북고분군 B군은 내물왕계가 아닌 실성왕계의 고분군일 것이다. 그중 가장 동쪽에 있는 대형분인 교동 119호분이 실성왕릉으로 추정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situated on the flat lands of central Gyeongju) and the Silla royal burial grounds of the Maripgan period.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began to be established in the late second century CE (the late Proto-Three Kingdoms period) with the construction of wooden chamber tombs in the Inwang-dong sector, located in the eastern section of the burial ground. The burial ground began to expand westwards over time, extending to the west of Wolseong-ro by the early forth century (the Incipient Silla phase). By the late fourth century, in the earliest stages of the Early Silla phase, when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first made their appearance, the burial ground came to extend to the eastern end of the present day Daereungwon Tomb Complex. Subsequently,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with their characteristic mounds located above-ground, came to be constructed to the east and west of the preexisting burials. Around the time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wooden chamber tombs with stone mounds began to take place, the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came to be divided into the northern A Group and the southern B Group, with the former containing the large-scale tombs. The location of the ultra-large mounded tombs found clustered in the eastern part of the A Group — with Hwangnam Daechong (the Great Tomb of Hwangnam) at its center — appears to have been deliberate. Hwangnam Daechong, which has been fully excavated, is believed to be the tomb of King Naemul, the 17th Silla king. Constructed to its east are the large-scale mounded tombs of his father and grandfather; based on the records of the Samguk Sagi, it is assumed that these tombs were enlarged and improved by in 435 CE by King Nulji, who was King Naemul’s eldest son and heir. Located to the north and south of Hwangnam Daechong are the mounded tombs of present day Noseo-dong, Nodong-dong and the Daereungwon Tomb Complex. These tombs form three groups: the first group begins with Noseodong Tomb No. 125 to the north (Group A-1), the second group consists of Hwangnam Daechong and the other tombs of the Daereungwon Tomb Complex that are located nearby, and the third group begins with Hwangnam-dong Tomb No. 106 to the south and continues to Chonmachong Tomb (Hwangnam-dong Tomb No. 155), which is located to the west of Hwangnam Daechong. Of these tombs, Noseo-dong Tomb No. 125, which belongs to Group A-1 to the north and is located at a distance away from Hwangnam Daechong is believed to be the resting place of the 19th Silla King Nulji, King Naemul’s eldest son and heir. The tombs of Group A-1, located to the west, are those of King Nulji’s direct descendents; they include the tombs of the 20th Silla King Jabi and the 21th Silla King Soji. Demonstrating a symmetrical layout (with Hwangnam Daechong at the center) to the northern Noseo-dong Tomb No. 125 (believed to be King Nulji’s tomb) is the southern Hwangnam-dong Tomb No. 106, which is thought to be the tomb of King Jijeung’s grandfather, who was a son of King Nulji. The southern group which begins with this tomb can be interpreted as being comprised of the tombs of his direct descendants. Of the tombs of this southern group, Chonmachong Tomb, which is located directly to the west of Hwangnam Daechong, is believed to be the final resting place of the 22nd Silla King Jijeung. The tombs that are found clustered in close proximity to Hwangnam Daechong are thought to belong to one of King Naemul’s princes who did not succeed to the crown, and his descendants. It is thu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large-scale tombs of Wolseong North Burial Ground were constructed for King Naemul and several descendant groups that branched out from

목차

Ⅰ. 머리말
Ⅱ.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
1. 신라고분의 변천과 편년 개요 2.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
Ⅲ.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1. 월성북고분군의 분화와 초대형분 배치의 기획성
2. 황남대총의 연대와 피장자 3.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Ⅳ. 나머지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병현(Byunghyun Choi). (2014).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한국고고학보, 90 , 120-163

MLA

최병현(Byunghyun Choi). "경주 월성북고분군의 형성과정과 신라 마립간시기 왕릉의 배치." 한국고고학보, 90.(2014): 120-16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