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이용수 325
-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by reading ability in deaf children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김은하(Eunha Kim)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9권 제1호, 139~15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차이를 초
등학생(일본 청각장애 아동) 1학년에서 6학년의 100명을 대상으로 조망수용능력 과제의 수행
결과로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각 조망수용능력은 정적 상관관계가 인정되었으며, 읽기능력
에 따라 각 조망수행능력 간의 상관관계 형태가 다르게 나타났다. 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
련성을 경로 분석을 통해서 검토한 결과, 인지적 조망수용능력에서 정서적 조망수용능력으로
향하는 경로가 나타났으며, 읽기능력에 따라 구분되었다. 읽기능력이 낮은 청각장애 아동은 1
차 틀린 믿음 과제에서 맥락적 감정 이해 과제로 향하는 경로가 나타났고, 읽기능력이 높은
청각장애 아동은 2차 틀린 믿음 과제에서 맥락적 감정 이해 과제로 향하는 경로가 나타났다.
이를 통해 읽기능력이 높은 청각장애 아동은 맥락적 감정 이해 과제 해결에 이차적 추측 능
력을 사용한다는 점이 시사되었다.
영문 초록
The present study aim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in deaf children. Participants were 100 deaf children (Japanese) from the first to six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for the deaf. Each perspective-taking ability showed an apparent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patterns of correlation between visual, cognitive, and affective perspective-taking were
different depending on reading ability. The results of path analysis showed a first path through first-belief
tasks to contextual emotion tasks, and a second path through two-level tasks to second-belief tasks and to
contextual emotion tasks. The low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the first path. On the other hand, the
high reading ability group showed the second path of more difficult tasks in perspective-taking. This
indicates that the high reading ability group uses high level of recursive thinking for contextual emotion
task.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 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FIE-B 점조직 프로그램의 중재사례 연구
-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변화 - 6개월 추적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놀이참여의 매개 효과
-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가 보이는 지지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 얼굴표정 모방을 활용한 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성별 자기조절학습의 유형화 및 유형의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학대와 방임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아동 우울과 충동성 매개효과
- 부모 애착과 또래 애착이 아동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자녀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회적 위축과 공격 성의 매개효과: 현실 비행과 사이버 비행의 비교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