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가 보이는 지지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이용수 168
- 영문명
- Maternal Support during a Puzzle Task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이주연(Jooyeon Lee) 신나나(Nana Shin)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9권 제1호, 95~119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만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가 보이는
지지와 유아의 마음이론의 일반적 경향 및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두
변인 간 관련성을 탐색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거주하는 만 4, 5세
유아와 그들의 어머니 73쌍을 대상으로 실험실 상황에서 자료를 수집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
약하면 첫째, 유아의 연령, 형제자매의 수, 어머니의 교육수준과 같은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유아의 마음이론에서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들은 인
지적 지지보다 정서적 지지와 자율성 지지를 더 많이 보였으며, 유아들은 마음이론 과제에서
외양실제과제, 틀린믿음과제(위치이동과제, 내용교체과제), 이차틀린믿음과제 순으로 더 높은
수행을 보였다. 셋째, 어머니의 지지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의 인지적 지지와 정서적 지지는 마음이론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지만, 자율성
지지와 마음이론 간 상관은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의 지지가 유아의 마음이
론 발달에 중요한 양육행동의 차원이라는 것을 제안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general tendencies of maternal support during a puzzle task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nal support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A total of 73 four- and five-year old preschoolers and their mothers participated in a
videotaped laboratory procedure. Mothers interacted with their child for six minutes during a puzzle task
that was a little difficult for the child to complete independently. Preschoolers completed a battery of
theory of mind task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thers displayed more emotional
and autonomy support than cognitive support during the puzzle task. In addition, preschoolers performed
these tasks well in the following order: appearance-reality tasks, false-belief tasks, and second-order falsebelief
tasks.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maternal support and preschoolers’ theory of
mind in terms of preschoolers’ gender and age, number of siblings and mothers’ educational level. Finally,
maternal cognitive and emotion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hildren’s theory of mind, while
autonomy support did not have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reschoolers’ performance on theory of mind
tasks.
목차
서 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 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FIE-B 점조직 프로그램의 중재사례 연구
-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변화 - 6개월 추적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놀이참여의 매개 효과
-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가 보이는 지지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 얼굴표정 모방을 활용한 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성별 자기조절학습의 유형화 및 유형의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상담심리교육복지 12권 1호 목차
- 공군사관생도의 가족건강성, 사회적지지, 회복탄력성, 조직몰입 및 학교생활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연구
-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자의 아동학대행위자 상담경험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