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변화 - 6개월 추적
이용수 660
- 영문명
- Change in Objective Cognition and Depression, Anxiety related to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 6-Month Follow-Up -
- 발행기관
- 인지발달중재학회
- 저자명
- 변혜선(Hyesun Byun) 김용숙(Yongsuk Kim) 이호진(Hojin Lee)
- 간행물 정보
- 『인지발달중재학회지』제9권 제1호, 1~1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04.30
4,3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주관적 인지기능의 감소가 객관적 인지기능,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실시되었다. 65세 이상 노인에게 한국판 치매 설문 도구로 주관적 인지기능을 조사하여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군(28명), 정상군(52명)으로 구분하였다. 두 집단에 6개월 간격으로 2회
객관적 인지기능, 우울, 불안을 조사하였다. 두 집단의 인지기능, 우울, 불안은 paired t-test, 공
분산 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령을 통제한 후, 1차와 2차 조사 모두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감
소군의 주관적 인지기능, 즉시회상, 지연회상, 단어유창성, 우울, 불안점수가 정상군보다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여 있었다. 1차와 2차 조사 모두에서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군의 인
지기능과 우울, 불안이 정상군보다 감소하여 있다는 사실은 인지기능 감소가 일시적인 현상
이 아니라 실제로 인지기능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hange of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ccording to time
interval to identify whether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is related to cognitive decline. Elderly adults aged
65 years or older visit a public healthcare center were divided into a subjective cognitive impairment
group (n=28) and a normal group (n=52) based on the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 The
two groups’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t the baseline and 6-month follow-up
were compared. Both groups’ objectiv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were then analyzed with
paired t-tests and ANCOVA.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 two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cognitive function, immediate recall, delayed recall, word fluency, depression, and anxiety at the
baseline and 6 month follow-up. The fact that the differences in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anxiety
at baseline are maintained over six months suggests that these changes are not transient but that
cognitive impairment is indeed occurring.
목차
서 론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 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청각장애 아동의 읽기능력에 따른 시각적, 인지적, 정서적 조망수용능력 간의 관계
- 양육시설 아동들을 대상으로 한 FIE-B 점조직 프로그램의 중재사례 연구
- 노인의 주관적 인지기능 감소와 인지기능, 우울, 불안의 변화 - 6개월 추적
-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이 놀이성에 미치는 영향: 어머니 정서표현 수용태도의 조절효과 및 긍정적 정서표현성의 매개효과*
- 어머니의 양육효능감과 아동의 놀이성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 놀이참여의 매개 효과
- 퍼즐과제 수행 시 어머니가 보이는 지지와 유아의 마음이론 간의 관계*
- 얼굴표정 모방을 활용한 공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초등학교 4학년 아동의 성별 자기조절학습의 유형화 및 유형의 특성 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적 예술치유에서의 치유적 개입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 암 생존자인 예술가의 예술을 통한 치유적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여고생의 진로장벽 인식과 수용 - 포커싱 아트 진로탐색 프로그램 경험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