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문상담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이용수 20
- 영문명
- Phenomenological Study on School Counselors’ Self-Reflection Experiences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태지숙(Ji Suk Tae)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39권 2호, 171~20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전문상담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의 본질을 밝혀 전문상담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있어 자기성찰 경험이 지닌 가치를 드러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전문상담교사 5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진행하고 면접 자료를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총 148개의 의미단위와 57개의 의미단위 요약, 20개의 하위구성요소, 최종적으로 7개의 상위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상위구성요소는 ‘질문이 기폭제이자 원료로서 기능함’, ‘내적 과정이 언어로써 외부로 표현됨’, ‘법고창신 정신으로 옛것을 본받아 새로운 것을 만듦’, ‘다양한 피드백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실제에 반영함으로써 발전해 나감’, ‘자기의 부족함에 대한 인식을 넘어 더 깊고 넓은 자기 이해로 나아감’, ‘심리적 두려움과 불안은 줄어들고 자신감과 효능감은 높아짐’, ‘시야를 넓히고 인식의 지평을 넓힘’이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전문상담교사의 자기성찰을 촉진하기 위한 시사점, 제한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essence of school counselors' self-reflection experiences and to highlight the value of self-reflection in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achieve thi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ive school counselors, and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s a result, a total of 148 meaning units, 57 summarized meaning units, 20 subcategories, and ultimately 7 categories were emerged. The categories were: (1) “Questions function as both a catalyst and a raw material,” (2) “Internal processes are externally expressed through language,” (3) “Following the principle of learning from the past to create something new,” (4) “Actively accepting diverse feedback and applying it to practice, leading to continuous development,” (5) “Moving beyond recognizing one's shortcomings to achieving deeper and broader self-understanding,” (6) “Reducing psychological fear and anxiety while increasing confidence and self-efficacy,” and (7) “Expanding perspective and broadening the horizon of awar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implications for promoting school counselors' self-reflec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3 다문화 학생이 지각한 학업성취도가 진로태도 준비성에 미치는 영향: 부모 진로 관련 행동의 조절효과
- 토픽모델링을 활용한 진로전담교사의 학교 진로교육에 관한 요구분석
- 키워드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국내 잡 크래프팅 연구 동향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