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교육에서의 생명의 지위

이용수 5

영문명
The Position of Life in Education
발행기관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저자명
최건수(Gunsoo Choi)
간행물 정보
『교육연구』제39권 2호, 137~170쪽, 전체 3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2.28
6,8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화이트헤드(A. N. Whitehead)에 의하면, 자아와 사물은 자연 세계에서 통일성을 이루고, 여기에는 이 통일성을 지각하는 자아의 관심이 수반된다. 그는 생명을 자아의 감정적 향유로서 정의하고, 또한 생명은 창조성, 절대적 자기 향유 그리고 목적이라는 세 개념으로 구성된다고 하였다. 이 세 가지 구성요소들은 감정의 강도를 제어하는 생명의 활동력이다. 화이트헤드는 워즈워스(W. Wordsworth)의 시에서 자아와 자연 세계의 유기적 관련성을 발견하였다. 한편 워즈워스의 시를 읽고 존 스튜어트 밀(J. S. Mill)은 도덕적 감정을 육성하였으며, 또한 이 감정은 자신의 성격(동기)을 결정하고, 성격은 의지와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밀의 주장은 화이트헤드의 생명의 개념 즉 자아의 감정을 무시하는 것이 된다. 본연구의 목적의 하나는 화이트헤드의 생명의 개념을 도덕교육 및 예술교육과 관련지어 논의하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화이트헤드의 자기 향유의 도덕교육과 밀의 성격교육으로서의 도덕교육이 서로 구분된다는 점을 설명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워즈워스의 시를 중심으로 두 사상가를 비교하였다. 그러나 성격교육과 자기향유 교육의 장단점을 비교·논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결론에서는 화이트헤드의 생명의 교육을 몇 가지로 요약·제시하고, 마지막으로 교육에서의 생명이 우리의 교육에 함의하는 바가 무엇인지에 대해 하나의 제안을 하였다.

영문 초록

According to A. N. Whitehead, the self and the object are unified in the natural world, and this is accompanied by the interest of the self that perceives this unity. And he defined life as the emotional enjoyment of the self, and also said that life is composed of three concepts: creativity, absolute self-enjoyment, and purpose. These three components are the activity of life that controls the intensity of emotions. Whitehead discovered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 self and the natural world in Wordsworth's poetry. On the other hand, John Stuart Mill, who read Wordsworth's poem, fostered moral emotions, and argued that these emotions determined his character (motivation) and that character influenced his will and behavior. However, Mill's argument ignores Whitehead's concept of life, the feeling of self. One of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discuss Whitehead's concept of life in relation to mo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and the other is to explain that Whitehead's moral education of self-enjoyment is differentiated from Mill's moral education as a characte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two thinkers were compared based on Wordsworth's poetry, but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character education and self-enjoyment education were not compared or discussed. Therefore, the conclusion summarized and presented Whitehead's life education in several ways, and finally, a suggestion about what life implies in education was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화이트헤드의 유기체설과 밀의 결정론 비교
Ⅲ. 화이트헤드와 밀의 비교
Ⅳ. 교육과 생명의 관계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건수(Gunsoo Choi). (2025).교육에서의 생명의 지위. 교육연구, 39 (2), 137-170

MLA

최건수(Gunsoo Choi). "교육에서의 생명의 지위." 교육연구, 39.2(2025): 137-17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