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실천공동체로서의 교사학습공동체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30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s Communities of Practice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권승준(Seung-jun Kwon)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39권 2호, 73~111쪽, 전체 3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7,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천공동체로서의 교사학습공동체를 구성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밝히고, 이러한 교사학습공동체 참여를 통해 나타난 교사들의 정체성 형성은 어떠한지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천공동체 이론을 기반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여 교사학습공동체와 관련한 질적 사례 연구물들을 종합하여 분석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교사학습공동체는 실천공동체로서 도메인, 커뮤니티, 프랙티스의 요소로 이루어져 구성된다. 그리고 구성원들은 이러한 실천공동체 참여를 통해 정체성을 형성한다. 교사학습공동체의 도메인은 교육정책, 수업, 교육과정, 생활지도로 구성되며, 커뮤니티는 연대감, 신뢰감, 위안, 즐거움, 효능감, 만족감으로, 프랙티스는 자료공유, 토의·토론, 수업공개, 강의, 글쓰기로 이루어진다. 구성원들은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하며, 이러한 정체성 형성은 주변적 궤적, 내부지향 궤적, 내부자 궤적, 경계적 궤적, 외부지향 궤적으로 나타난다. 교사학습공동체는 실천공동체로서의 특성을 보이며, 이는 교사학습공동체의 구성원들이 공동체 구성 과정에서 드러내는 구성요소와 정체성 형성을 통해 뒷받침 된다. 본 연구를 통해 여러 교사학습공동체를 관통하는 이론적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이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constitut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s communities of practice and to examine how teachers' identities are shaped through participation in these communities. Based on the theory of communities of practic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synthesizing and analyzing qualitative case studies related to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e findings were presented.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re structured as communities of practice, consisting of the elements of domain, community, and practice. Through participation in these communities of practice, members form their identities. The domai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includes educational policies, teaching, curriculum, and student guidance. The community consists of a sense of solidarity, trust, comfort, enjoyment, efficacy, and satisfaction. The practice includes activities such as sharing materials, discussions and debates, class observations, lectures, and writing. Members form their identities through participation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this identity formation is manifested in peripheral trajectories, inbound trajectories, insider trajectories, boundary trajectories, and outbound trajectories.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exhibit characteristics of communities of practice, which are supported by the elements demonstrated by members during the community-building process and through identity formation. Through this study, theoretical implications that span across multiple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were derived, which will serve as a foundation for systematically understanding the phenomena observed in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