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경기도 기지촌 성매매 피해 여성의 생애사와 노인평생교육의 방법
이용수 6
- 영문명
- Biography of Women Victimized by the Sex Trade in Gyeonggi Province's Military Base Towns and Methods of Elderly Lifelong Education
- 발행기관
-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 저자명
- 박성희(Seong Hie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연구』제39권 2호, 1~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2.28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기지촌 성매매 피해 여성에 관한 연구는 관련 단체의 실태조사, 법·정책의 제도화 과정 및 피해 보상적 측면에서 특별법 제정 관련 연구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피해 여성의 노년기 교육에 대한 노인평생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는 찾기 어렵다. 연구 목적은 노인이 된 기지촌 성매매 피해 여성의 액티브 에이징을 위한 노인평생교육을 지원하는 데 있다. 연구 문제는 기지촌 성매매 피해 여성의 생애사를 재구성하고, 요구에 기반한 노인평생교육의 방법을 제언했다. 연구 방법은 생애사 연구 방법을 적용했다. 연구 결과, 이들은 빈곤 가정에서 딸로 태어나 10대에 6.25 전쟁 이후, 급조된 미군 위락시설인 기지촌에 유입, 정착했다. 조직적 억압과 감시 구조 속에 중년기에 일을 그만둔 후에는 가족으로부터 거부되어, 외부와 단절된 채 빈곤, 질병, 외로움, 역할 상실이란 4가지 노년기 고통에 시달리고 있다. 액티브 에이징을 위한 노인평생교육은 노년기가 새로운 삶의 기회가 되도록 해방적 실천을 위한 역량 개발을 지원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인신매매, 인권 유린, 피해 보상에 대한 법적 지식의 습득, 자기 삶의 의미를 발견하도록 지원, 종속된 삶에서 벗어나 해방적 존재가 되도록 사회 참여를 위한 역량 개발을 지원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ort the elderly lifelong education for active aging of women victims of prostitution in military base towns who have become elderly. The research problem is to reconstruct the life histories of women victims of prostitution in military base and propose a method of needs-based senior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 applied life history research metho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y were born as daughters in poor families and settled in the base village, a hastily constructed US military comfort facility, after the Korean War in their teens. In middle age, after stopping work amidst systematic repression and surveillance, they were rejected by their families and cut off from the outside world, suffering from the four afflictions of old age: poverty, illness, loneliness, and loss of role. Lifelong learning for active aging should support capacity development for emancipatory practices so that old age becomes an opportunity for new life. Specifically, it should support the acquisition of legal knowledge about human trafficking, human rights abuses, and compensation for damages; help them discover the meaning of their lives; and develop their capacity for social participation so that they can break free from subordination and become emancipatory beings.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Ⅲ. 생애사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기지촌 피해 여성의 생애사
V. 해방적 실천으로서의 노인평생교육 방법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