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Leveraging AI for Improved Bible Reading and Literacy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서미경(Mi Kyung Seo)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0집, 335~36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최근 문해력은 단순한 읽기와 쓰기를 넘어 창의적, 비판적 사고를 촉진하는 중요한 능력으로 강조되고 있다. 기독교 신앙에서도 성경 문해력은 개인의 신앙 성장과 교회의 건강한 가치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향상을 위한 교육방안을 찾아보고자 했다.
결론 및 제언 : 역사적으로 성경에 대한 무지는 교회의 권력 강화나 사회적 불평등을 초래한 원인 중 하나였으며, 근대화 이후 성경의 권위가 약해지고 성경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에는 성경을 디지털 기기와 앱을 통해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되었지만, 성경을 읽고 이해하는 사람들의 비율은 여전히 낮다. 이에 따라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의 방향과 방법을 제언했다.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은 효율적이고 맞춤형 교육을 제공할 수 있고, 기존의 성경 읽기 방법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이 될 수 있다. AI는 성경의 배경 지식 제공, 원어 해석, 역사적 문맥 설명, 대화형, 게임형 시스템 등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자의 이해를 돕는 도구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성경의 특정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나 해석을 지원하는 기능을 통해 성경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게 도와준다. 하지만 AI 활용에 따른 데이터 편향성, 영적 분별력 부족, 개인 정보 보호 문제, 그리고 권위 문제를 고려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 In recent times, literacy has been emphasized as a crucial ability that fosters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extending beyond mere reading and writing. In Christian faith, biblical literacy plays a significant role in both individual spiritual growth and the formation of healthy values within the church.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ducational methods utilizing AI to enhance Bible reading and literacy.
Conclusions and Suggestions : Historically, ignorance of the Bible has contributed to the consolidation of church power and social inequality. In the wake of modernization, the authority of the Bible has weakened, and the number of people who do not fully understand the Bible has increased. As we live in the digital age, the Bible is now easily accessible through digital devices and apps, yet the percentage of people who read and understand it remains low. This highlights the need for Bible reading and literacy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d directions and methods for Bible reading and literacy education utilizing AI. AI-powered Bible reading and literacy education can provide efficient and personalized education, overcoming the limitations of traditional Bible reading methods. AI can be utilized as a tool to assist learners' understanding through various methods such as providing background knowledge of the Bible, original language interpretation, historical context explanation, interactive and game-based systems. Additionally, it can support in-depth research and interpretation of specific topics in the Bible, helping learners to understand and study the Bible more systematically. However,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ssues such as data bias, lack of spiritual discernment, privacy concerns, and authority when utilizing AI.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성경 무지(Biblical Illiteracy)의 역사와 현대적 양상
Ⅲ. 성경 문해력과 디지털 시대의 문해력 교육
Ⅳ.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의 방안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 수업에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수업 사례 탐구 : 외국인 유학생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 십계명을 통한 청소년 신앙교육 정립 :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교회를 떠난 청년 자녀를 둔 부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영적 행복을 증진하는 교목실의 역할과 활동에 관한 연구
-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전망
- 소규모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모형 연구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전래동화 개발 경험 탐구
- 대학 음악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 효과 탐색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챗봇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