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 수업에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수업 사례 탐구 : 외국인 유학생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Use of Generative AI in Liberal Arts Classes: Focusing on Creating Posters for International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수연(Su Yeon Ki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0집, 263~287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하여 포스터를 제작하는 외국인 유학생들의 수업 활동을 진행한 후 수업활동에 관해 탐구하는 것에 있다.
연구 내용 및 방법 : 수업 활동을 진행 후 설문을 통해서 학습자의 인식을 기반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결론 및 제언 : 본 연구의 결과, 69.7%의 학생이 텍스트 생성형 AI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것을 나타났다.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은 처음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90.9%가 이미지 생성형 AI가 시각적 이미지 표현에 도움이 되었으며, 84.8%가 시각적 이미지 생성에 자신감을 얻었다고 응답하였다. 학습자는 AI의 장점을 고급스러운 이미지 도출, 그림 실력 보완, 편리함, 효율성 등으로 응답하였다. 활동 과정에서 다양한 결과물을 도출할 수 있었고, 영감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었다고 하였지만, 프롬프트에 단어와 문장을 입력하는 부분이 어려웠다는 의견이 있었다. 또한 이미지 생성형 AI의 불편한 점으로는 일관성이 없고, 원하는 이미지 도출을 위해서는 여러 번 질문 시도를 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미지 생성형 AI의 활용이 학습자의 시각적 표현 활동에 도움을 주고, 자신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도움을 주는 활동으로써 긍정적인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추후 이미지 생성형 AI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는 교수자에게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classroom activities involving the use of image-generating AI to create posters by international students.
Research Content and Method: After conducting the classroom activities, a survey was used to investigate and analyze learners' perceptions.
Conclusions and Suggestions: The study revealed that 69.7% of students had prior experience using text-generating AI, while this was their first time using image-generating AI. Among the learners, 90.9% found that image-generating AI was helpful for visual image representation, and 84.8% reported gaining confidence in creating visual images. Students identified the advantages of AI as producing sophisticated images, enhancing drawing skills, convenience, and efficiency. They also noted that the activity allowed them to produce diverse results and gain inspiration and creative ideas. However, some learners mentioned difficulties in inputting words and sentences into prompts. Additionally, drawbacks of image-generating AI included inconsistency and the inconvenience of needing multiple attempts to achieve the desired images. This study concludes that using image-generating AI positively impacts learners' visual expression activities and boosts their confidence. It also serves as foundational material for educators planning to conduct future classes utilizing image-generating AI.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결과
Ⅴ.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 수업에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수업 사례 탐구 : 외국인 유학생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 십계명을 통한 청소년 신앙교육 정립 :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교회를 떠난 청년 자녀를 둔 부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영적 행복을 증진하는 교목실의 역할과 활동에 관한 연구
-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전망
- 소규모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모형 연구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전래동화 개발 경험 탐구
- 대학 음악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 효과 탐색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챗봇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