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전망
이용수 0
- 영문명
- Theological Basis and Christian Educational Prospects for Children's Participation in Eucharist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교육학회
- 저자명
- 김은주(Eun-Ju Kim)
- 간행물 정보
- 『기독교교육 논총』제80집, 145~163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독교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독일교회에서는 1970년대 이후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논쟁이 활발하게 이루어졌고 그 결과 원칙적으로 세례받은 아이들이 성만찬에 참여할 수 있는 교회 규정이 마련되었다. 그에 반해 많은 한국교회에서는 여전히 세례받은 아이들이 성만찬 참여에 배제되어 있다. 세례를 받았음에도 아이들은 왜 성만찬에서 배제되어야 하는가? 아이들이 세례를 통하여 교회의 구성원으로 선포되었고 하나님의 자녀로 받아들여졌다면 성만찬 참여에 제외되는 것은 정당한 것인가에 관해 묻게 된다. 이에 관한 연구로 본 논문은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관한 신학적이고 기독교교육적인 가능성과 전망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결론 및 제언 : 이를 위하여 우선 성만찬에서 아이들이 제외되게 된 교회사적인 배경과 그 과정을 살펴보았다. 고대교회에서는 세례받은 아이들이 성만찬에 참여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것이었으나, 13세기 이후 아이들이 배제되어갔다. 그 배경에는 스콜라 신학과 화체설 교리의 영향이 있었으며, 성서적 해석이 작용했음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성만찬에 관한 성서적 관점을 조망하였다. 성만찬을 유월절과의 관련성에서 조명하고 그리스도의 몸에 참여하는 의미를 강조하였다. 더하여 아이들을 성만찬에서 제외하도록 작용한 고린도전서 11장에 대한 성서학적인 해석을 다르게 제시하였다. 세 번째로, 성만찬 이해가 지금까지 지나치게 죄용서와 회개에 초점을 맞추어 왔다면, 보다 폭넓은 성만찬 이해에 대한 전망을 제시하였다. 성만찬에 대한 다양한 전망들은 아이들을 성만찬에 참여시킬 수 있는 보다 확장된 시야를 제공해준다. 마지막으로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기독교교육적인 전망을 제시하였다. 아이들이 사춘기 이전에 성만찬에 참여하는 것이 그 이후보다 신앙교육에 더 지속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기대할 수 있으며, 통전적 학습이 일어나는 배움의 장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Purpose of Research : In the German church, theological debate about children's participation in Eucharist has been active since the 1970s, resulting in church regulations that in principle allow baptized children to participate in Eucharist. In many Korean churches, however, baptized children are still excluded from Eucharist. The question arises, why should children be excluded from Eucharist despite their baptism? If children are proclaimed as members of the church and accepted as children of God through baptism, is it justified to exclude them from participating in Eucharis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theological and Christian pedagogical possibilities and prospects for children's participation in Eucharist.
Results/Conclusions : In order to do so, I first examine the ecclesiological background and the process by which children were excluded from Eucharist. In the ancient church, it was natural for baptized children to participate in Eucharist, but from the 13th century onward, children were excluded. We examine the influence of scholastic theology and the doctrine of transubstantiation, as well as biblical interpretation. Second, I examined the biblical view of Eucharist. It highlighted Eucharist in relation to Passover and emphasized the meaning of participation in the body of Christ. It also offered a different biblical interpretation of 1 Corinthians 11, the passage that led to the exclusion of children from Eucharist. Third, it offered a broader view of Eucharist, arguing that the understanding of Eucharist has been overly focused on forgiveness of sins and repentance. These different views of Eucharist provide a more expansive perspective for involving children in Eucharist. Finally, a Christian education perspective on children's participation in Eucharist is presented. Children's participation in Eucharist before adolescence can be expected to have a more lasting impact on their faith formation than afterward, and it can be a place of learning where holistic learning takes place.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교회 역사적 고찰
Ⅲ. 성경적 전망
Ⅳ. 성만찬 이해에 대한 다양한 전망들
Ⅴ. 기독교교육학적 전망
Ⅵ. 나가는 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교양 수업에서 이미지 생성형 AI 활용 수업 사례 탐구 : 외국인 유학생 포스터 만들기 활동을 중심으로
- 십계명을 통한 청소년 신앙교육 정립 : 「기독교 강요」를 중심으로
- 규암 김약연과 북간도의 마을교육공동체 - 명동학교와 명동마을을 중심으로
- MZ 세대의 사회적·신앙적 위기와 기독교 교육적 돌봄과 회복탄력성
- 교회를 떠난 청년 자녀를 둔 부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영적 행복을 증진하는 교목실의 역할과 활동에 관한 연구
- 아이들의 성만찬 참여에 대한 신학적 근거와 기독교교육적 전망
- 소규모 기독교대학의 교양교육과정 모형 연구
- 유아인성교육을 위한 예비유아교사의 디지털 전래동화 개발 경험 탐구
- 대학 음악교육에서 문제중심학습(PBL)을 활용한 수업 효과 탐색
- 사이버대학 성인학습자를 위한 생성형 AI 챗봇의 실제 적용을 위한 요구분석에 관한 연구
- AI를 활용한 성경 읽기와 문해력 교육 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BEST
- 대상관계이론에서 본 관계중독과 회복에 대한 사례연구: Fairbairn과 Winnicott 이론을 중심으로
- 학교 적응이 어려운 초등학교 6학년 남아의 인지 행동 놀이치료 사례연구 :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문제해결력(PSI), ‘양떼를 지켜라’ 문제 해결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 애착 트라우마 상담 사례연구: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EMDR)와 내면가족체계(IFS) 치료의 통합적 적용가능성을 중심으로
인문학 > 기독교신학분야 NEW
- 영화 <아들>을 통해 본 상실의 고통과 애도의 어려움에 답하는 교회의 역할 모색
- 영지주의를 극복하기 위한 기독교교육의 방향 연구
- 대학생의 팀활동 스트레스 대처전략에 대한 사회인지적 갈등 조절 유형과 성취목표지향성의 상호작용 효과 검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