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on AI Literacy among College Students: A Case Study of K Theological University
발행기관
한국기독교교육학회
저자명
송윤희(Yunhee Song)
간행물 정보
『기독교교육 논총』제80집, 245~26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독교신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 목적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 및 결과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그 후 자기주도학습능력, 컴퓨팅 사고력과 AI 리터러시에 대한 타당성이 확보된 기존의 측정도구를 선정하여 설문을 시행하였다. 연구대상은 대전의 K 신학대학교의 재학생 253명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시행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주도학습능력은 AI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컴퓨팅 사고력은 AI 리터러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컴퓨팅 사고력은 자기주도학습능력과 AI 리터러시 사이를 매개하였다. 결론 :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할 때, 대학생의 AI 리터러시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을 높여야 한다. 최근 AI 리터러시의 필요성이 높아지는 시기에 AI 리터러시에 영향을 주는 변인을 밝히는 점에서 이론적 의미를 가질 뿐만 아니라 변인들의 관계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실천적 유용성이 기대된다.

영문 초록

Research Purpose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on AI literacy. Methods and Results :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to explore how college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influence AI literacy. Subsequently, validated existing measurement tools fo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mputational thinking, and AI literacy were selected to conduct a survey.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253 students enrolled at K Theological University in Daeje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had a positive effect on AI literacy. Second, computational thin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AI literacy. Third, computational thinking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AI literacy. Conclusion :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to enhance college students' AI literacy, it is necessary to improve both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At a time when the necessity for AI literacy is increasing, this study holds theoretical significance by identifying variables that influence AI literacy, and practical utility by examining consideration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se variables.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나가는 말 :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윤희(Yunhee Song). (2024).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논총, (), 245-261

MLA

송윤희(Yunhee Song). "대학생의 자기주도학습능력과 컴퓨팅 사고력이 AI 리터러시에 미치는 영향 : K 신학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기독교교육 논총, (2024): 245-26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