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약성경으로 (재)조명해 본 장애 이해
이용수 0
- 영문명
- Understanding Disability (Re)Illuminated by the Old Testament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오민수(Min-su Oh)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70권, 447~479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히브리 성경에서 장애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발생하였는지에 대한 ‘발생학적’이거나 ‘의학적’인 해명은 부재하다. 오히려 성경은 병에 대한 원인학적인 접근보다는, 대부분은 내러티브 안의 결과론적인 맥락에서 독자들에게 스스로 그 원인을 역(易) 추론할 수 있도록 배려하여, 독자들에게 다분히 신앙적이고 윤리적이며 사회적인 반응을 유도하고 있다. 그러한 까닭에 우리의 현재를 기반으로 한 범주 안에서 질병이나 정신적·신체적 기능의 손상을 해명하는 데는 그 한계가 뚜렷하다. 방법론적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연구는 사회적, 문화적, 관습적 접근으로 히브리 성경 안에 장애 언급 구절을 살펴본다. 히브리 성경의 장애에 대한 이해는 7가지 정도의 해석모델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인간의 삶의 일부로서 장애’, ‘악한 세력으로 인한 장애’, ‘삶의 이례적인 사건으로서의 장애’, ‘연단으로서의 장애’, ‘훈육으로서의 장애’, ‘대리적 고난으로서의 장애’가 그것이다. 이런 모델들은 때로는 사람에게 ‘깨어있는 겸허’를 요청하기도 하고, 장애를 ‘몰아내고 대적해야 할 것들’로 병변을 이해하기도 하였고, 때로는 ‘탄원의 대상들’로, ‘돌이킴의 메시지’로 신체적 불리를 해석하게 하였다. 그리고 장애라는 고난을 ‘연단으로 감내할 것’으로, ‘훈육 중 성숙의 지향점’으로, ‘누군가의 고난에 대해 감사할 것’으로 받아들이게 한다. 히브리 성경 전체의 다중해석 모델은 우리에게 참된 믿음 가운데 어떤 종류의 고난과도 교제할 수 있도록 하게 한다. 그리고 이것은 아직도 고난 가운데 있는 사람들에게 결국에는 땅 위에 서실 구속자를 대망하게 한다. 성경의 다른 중요한 가르침과 마찬가지로, 장애 역시 ‘이미’와 ‘아직’이라는 종말론적 구도를 가지고 있다. 이미 치유가 시작되었지만, 아직 완성되지는 않았다. 그러한 의미에서 지상에 단 한 번 공개해주신 주님의 부활의 영광은 의미가 크다. 그분은 장애 있는 몸으로 나타나서, 그것을 보이시며, 너희가 누구의 죄든지 용서라고 말씀하고 계신다. 이미 도래한 천국의 복음은 종말론적 지향점을 가지고 있으며, 죄의 문제를 넘어 속죄와 화목의 일이 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understanding of disability in the Hebrew Bible was not monophonic, but multi-tonal. It can be divided into about seven interpretation models: ‘disability as a part of human life’, ‘disability caused by evil forces’, ‘disability as an unusual event in life’, ‘disability as a training ground’, ‘disability as discipline’, and ‘disability as vicarious suffering’. These models sometimes ask people to be ‘awake and humble’, understand diseases as ‘things to be driven out and confronted’, and sometimes interpret physical disadvantages as ‘objects of petition’ and ‘messages of conversion’. And they accept the suffering of disability as ‘something to endure as a training ground’, ‘a point of orientation for maturity during discipline’, and ‘something to be thankful for someone’s suffering’. The multiple interpretation model of the entire Hebrew Bible allows us to fellowship with any kind of suffering in true faith. And this allows those who are still suffering to look forward to the Redeemer who will eventually stand on the earth. Like other important teachings of the Bible, disability also has an eschatological structure of ‘already’ and ‘not yet.’ Healing has already begun, but it is not yet complete. In that sense, the glory of the Lord’s resurrection, which was revealed only once on earth, is significant. He appeared in a disabled body, showed it, and said that no matter who’s sins, they are forgiven. The gospel of the kingdom of heaven that has already arrived has an eschatological orientation, and it must go beyond the problem of sin to become a work of atonement and reconcili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일반적인 장애 이해 범주들
3 연구를 위한 질문 - 더욱 정밀한 이해와 범주화의 필요성
4 장애 지칭과 그 사회-문화적 이해
5 장애 해석과 반향 지침
6 장애 극복과 천국 복음
7 나가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호론
- 목회자의 눈으로 본 에베소서의 성령론
- 성령과 성경의 관계: 백스터와 폭스의 논쟁을 중심으로
- 박형룡의 변증학에 나타난 개연성 고찰
-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에서 유신진화론이 허용되는가?
- 바울의 ‘새 관점’ (New Perspective)에 대한 비판 연구: 샌더스(E. P. Sanders)의 관점과 갈라디아서 3장 주해를 중심으로
- 정의와 사랑의 입맞춤: 암브로시우스의 『성직자의 의무』와 신학적 의무론
- 칼빈 신학 다시 읽기를 위한 제언으로서의 존 칼빈의 신학구조에 관한 고찰: 『기독교 강요』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사상”을 중심으로
- 교회 정체성 정립의 기준: 칼빈의 비가시적 교회 개념을 중심으로
- 저자 의도성(Authorial Intention)과 맥락화(Contextualization)의 관점에서 본 John Calvin의 갈라디아서 설교 연구
- 조선총독부와 개신교 의료선교 사이의 갈등과 대처 방안
- 구약성경으로 (재)조명해 본 장애 이해
- 므나 비유(눅 19:11-27)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쟁점 연구
- Reawakening of Jonathan Edwards’s Preaching in the Age of the New Homiletic: GOD-Centered, Christ-Exalting, and Spirit-Driven Preaching During the First Great Awakening
- 떠남과 속함의 의무: 벨직 신앙고백서 28항 분석
- 18세기 미국의 목회적 상황과 조나단 에드워즈의 목회적 돌봄: 구제 사역과 노예 문제를 중심으로
- 요나서에 나오는 하나님 호칭 사용에 대한 연구사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 그리스도 안에 거함(ἐν Χριστῷ)의 성경적 상담에 대한 함의(1): 정체성, 인지, 정서
- 개혁주의 인간론에 기초한 유아기 습관형성교육의 정당성과 의미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