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총독부와 개신교 의료선교 사이의 갈등과 대처 방안
이용수 0
- 영문명
- Conflicts and Countermeasures betwe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Protestant Medical Mission
- 발행기관
- 개혁신학회
- 저자명
- 송용권(Yongkwon Song)
- 간행물 정보
- 『개혁논총』제70권, 351~378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종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일제강점기 일본은 한국을 식민지화 하면서 일본의료를 한국에 도입하였다. 이후 일본은 한국의 공적의료를 통제하였고, 의료관리를 효과적으로 이루기 위해 특별히 ‘위생경찰’ 제도를 시행하였다. 또한 일본은 1910년대 들어서면서 여러 의료규제를 법제화하고 식민의료를 더욱 강화함으로 한국의 의료체계를 완전히 주도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의료의 성격과 형성과정, 의료규제를 연구하면서, 일본이 시행한 의료규제들이 개신교 의료선교회에 어떤 갈등을 발생시켰고, 어떻게 대처했는가를 고찰하였다.
개신교 의료선교는 일본의 식민정책에 ‘순응적 또는 협력적 태도’를 취했다. 의료선교의 중심인물이었던 에비슨은 세브란스병원과 의학전문학교가 전문화를 이루는 의료선교 기관이 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했지만, 일본의 식민정책과 의료규제를 간과할 수 없었다. 결국, 에비슨은 ‘환경적응론적 선교관’을 제시하며 일본의 식민정책이라는 새로운 변화에 빠른 적응을 주장하였다. 그의 환경적응론적 선교관은 일본의 식민정책에 ‘순응적 또는 협력적 태도’를 취하게 했다. 에비슨에 의해 주도된 개신교 의료선교의 순응적 또는 협력적 태도가 ‘개신교와 조선총독부 나환자 요양소 연합운영 계획’과 ‘데모리와 에비슨의 의료선교 정책논쟁’에서 의미하는 바가 무엇인지를 연구하였다.
영문 초록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Japan introduced Japanese medicine to Korea while colonizing Korea. After that, Japan controlled Korea’s public medical care and implemented a special ‘sanitary police’ system to effectively manage medical care. In addition, Japan completely dominated Korea’s medical system by legislating various medical regulations and further strengthening colonial medical care in the 1910s. This study examined the nature and formation process of Japanese medical care and medical regulations, and examined what conflicts the medical regulations implemented by Japan caused in the Protestant Medical Mission and how they were dealt with.
Protestant medical missions took a ‘compliant or cooperative attitude’ toward Japan’s colonial policy. Avison, a central figure in medical missions, aimed to make Severance Hospital and medical schools specialized medical mission institutions, but he could not overlook Japan’s colonial policy and medical regulations. Avison proposed ‘Environmental Adaptationist Missionary View’ and insisted on rapid adaptation to the new changes of Japan’s colonial policy. His ‘Environmental Adaptationist Missionary View’ led to a ‘Compliant or Cooperative Attitude’ toward Japan’s colonial policy. This study examined what the ‘Compliant or Cooperative Attitude’ of Protestant medical missions meant in the ‘Protestant and Japan Government-General's joint operation plan for leper sanatoriums’ and the ‘Debate on Medical Mission Policy between Demoree and Avis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식민의료와 의료선교의 갈등
3 의료선교의 갈등 대처: 에비슨의 ‘순응적 또는 협력적 태도’
4 데모리와 에비슨의 의료선교 정책논쟁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아우구스티누스의 기호론
- 목회자의 눈으로 본 에베소서의 성령론
- 성령과 성경의 관계: 백스터와 폭스의 논쟁을 중심으로
- 박형룡의 변증학에 나타난 개연성 고찰
- 헤르만 바빙크의 신학에서 유신진화론이 허용되는가?
- 바울의 ‘새 관점’ (New Perspective)에 대한 비판 연구: 샌더스(E. P. Sanders)의 관점과 갈라디아서 3장 주해를 중심으로
- 정의와 사랑의 입맞춤: 암브로시우스의 『성직자의 의무』와 신학적 의무론
- 칼빈 신학 다시 읽기를 위한 제언으로서의 존 칼빈의 신학구조에 관한 고찰: 『기독교 강요』와 “그리스도와의 연합 사상”을 중심으로
- 교회 정체성 정립의 기준: 칼빈의 비가시적 교회 개념을 중심으로
- 저자 의도성(Authorial Intention)과 맥락화(Contextualization)의 관점에서 본 John Calvin의 갈라디아서 설교 연구
- 조선총독부와 개신교 의료선교 사이의 갈등과 대처 방안
- 구약성경으로 (재)조명해 본 장애 이해
- 므나 비유(눅 19:11-27) 해석을 위한 다섯 가지 쟁점 연구
- Reawakening of Jonathan Edwards’s Preaching in the Age of the New Homiletic: GOD-Centered, Christ-Exalting, and Spirit-Driven Preaching During the First Great Awakening
- 떠남과 속함의 의무: 벨직 신앙고백서 28항 분석
- 18세기 미국의 목회적 상황과 조나단 에드워즈의 목회적 돌봄: 구제 사역과 노예 문제를 중심으로
- 요나서에 나오는 하나님 호칭 사용에 대한 연구사 및 향후 연구를 위한 제언
- 그리스도 안에 거함(ἐν Χριστῷ)의 성경적 상담에 대한 함의(1): 정체성, 인지, 정서
- 개혁주의 인간론에 기초한 유아기 습관형성교육의 정당성과 의미 고찰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