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반도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성과와 향후의 과제 - 한국 학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2

영문명
Achievements and Future Tasks of Research on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of Korean Peninsular Focusing on Korean Academia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이정희(Jung-hee Yi)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63집, 261~318쪽, 전체 5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9,7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한국 학계의 한반도화교·화인 관련 연구성과를 소개하고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반도화교·화인에는 1882년부터 1945년까지의 조선화교, 한국화교, 북한화교, 한국에서 해외로 재이주한 한화, 북한에서 중국으로 귀국한 귀국북한화교를 포함한다. 한중 수교 이후 중국대륙에서 한국으로 이주한 화교를 신화교, 그 이전부터 거주하고 있는 화교를 노화교로 부른다. 한반도화교는 중국과 중화민국의 국적을 보유하고 있는 중국인, 한반도화인은 한국과 북한 국적을 취득한 중국인을 가리킨다. 1945년부터 2024년 전반기까지 국내 학계서 발표된 논문은 400여 편에 달하며 이 분야 연구 세계를 선도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본고는 400여 편 가운데 총 편수의 38%에 달하는 120여 편의 논문과 연구서 30여 권을 사회와 경제로 나누고 논점을 중심으로 소개하기 때문에 한반도화교·화인 연구 내용을 거의 망라한다. 본고 마지막 부분에는 한반도화교·화인의 향후의 연구과제를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the achievements and suggests future tasks of research on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of Korean Peninsular(OCECKP) focusing on Korean academia.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of Korean Peninsular includes Overesea Chinese of Modern Korea, Overseas Chinese of South Korea, Overseas Chinese of North Korea, Hanhwa(Re-immigrated Ethnic Chinese from South Korea to world), and Returned Oveseas Chinese from North Korea. Old Overseas Chinese of OCECKP refers to Chinese who had immigrated and were living in South Korea before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92. On the other hand, New Overseas Chinese of OCECKP refers to Chinese who had immigrated from mainland China after 1992. The research achievements amounted approximately to 400 papers published in Korea academia from 1945 to the first half of 2024. This paper referred to 150 concerned papers and books who account for 38% of the total. Introduction of their research achievements will be categorized into economic and social fields to be presented on the main isseus. The last part of this paper will suggest future research tasks on Overseas Chinese and Ethnic Chinese of Korean Peninsular.

목차

Ⅰ. 머리말
Ⅱ. 개항기 조선화교(1882년∼1910년)의 사회와 경제 관련 연구성과
Ⅲ. 일제강점기(1910년∼1945년) 조선화교의 사회와 경제 관련 연구성과
Ⅳ. 한국화교의 사회와 경제 관련 연구성과
Ⅴ. 북한화교의 사회와 경제 관련 연구성과
Ⅵ.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정희(Jung-hee Yi). (2024).한반도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성과와 향후의 과제 - 한국 학계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 261-318

MLA

이정희(Jung-hee Yi). "한반도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성과와 향후의 과제 - 한국 학계를 중심으로." 중앙사론, (2024): 261-31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