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개화’의 태동, 고종 초기 ‘개화파’의 국왕 교육 - 고종대 시무개혁 세력의 인식 기반 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Beginnings of Joseon’s ‘Enlightenment’: The Guidance of King Gojong by the ‘Enlightenment Group’ in His Early Reign, Analyzing the Ideological Foundations of the Contemporary Affairs Reformer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한보람(Boram Han)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63집, 79~116쪽, 전체 38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7,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한국근대사에서 ‘개화’는 오랜 기간 ‘서구식 근대화’와 동일한 개념으로 설정되었다. 같은 맥락에서 ‘개화파’도 서구의 선진 문물을 받아들이고자 했던 사람들로 인식되어 왔다. 하지만 1876년 개항 이후 1880년대 조선정부의 ‘개화정책’의 추진 과정에서 그 지향점이 단순히 ‘서구식 근대’의 추구는 아니었다. 19세기 후반 조선의 개화정책의 뿌리를 살펴보기 위해 ‘개화파’의 시조로 일컬어지는 박규수를 중심으로 한 시무개혁 세력의 경연 강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서구식 근대의 추구와 거리가 멀다. 이들이 국왕 고종에게 전달하고자 했던 국왕 교육의 핵심은 성리학적 전통을 기반으로 한 덕치 군주상의 추구였다. 이들은 군신 간 소통과 협의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입장을 기반으로 고종에게 민에 대한 존중, 부국강병 추구의 비판, 신의를 바탕으로 한 외교관계 수립 등을 국정 운영의 핵심으로 전달했다. 이들은 조선이 이룩한 문명에 대한 깊은 신뢰를 가지고 전통적 국정운영 방안을 제시했다. 이는 서구식 근대를 지향으로 했다는 점에서 긍정적 평가를 받았던 ‘개화파’의 모습과 전혀 다른 것이었다. 20세기 제국주의 시대를 거치면서 조선의 전통은 순진하고 무능한 것으로 치부되기도 했다. 하지만 이들이 제시한 전통은 당대 현안의 해결책을 마련하고 대체적으로 성공을 이끌어낸 인물군의 의견이었다는 점, 그리고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사회의 기본 질서를 다지기 위해 유용한 방안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새롭게 의미가 부여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In modern Korean history, GaeHwa (“Enlightenment”) has long been equated with “Western-style modernization.” Similarly, the GaeHwaPa (“Enlightenment Group”) has been understood as those who aimed to adopt advanced Western culture. However, the “enlightenment policies” of the Joseon government in the 1880s, following the opening of ports in 1876, were not simply directed at Western-style modernization. Examining the lectures of the Shimugaehyeok (Reformers of Current Affairs) group, led by Park Gyu-su, often considered the founder of the GaeHwaPa, sheds light on the roots of Joseon’s reform policies in the late 19th century, which were actually far removed from pursuing Western modernity. The core of the king’s education that they aimed to impart to King Gojong was the ideal of a virtuous ruler grounded in Neo-Confucian value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cation and consultation between the ruler and officials, they conveyed principles of governance centered on respect for the people, critique of aggressive pursuits of national wealth and military power, and the establishment of trustworthy foreign relations. Their proposals reflected a deep confidence in Joseon’s civilization and advocated traditional governance methods. This approach stands in stark contrast to the GaeHwaPa often praised for a Western-modernization orientation. In the 20th century, amid the rise of imperialism, Joseon’s traditions were frequently dismissed as naive or ineffective. However, their legacy deserves renewed recognition, as their solutions to contemporary issues were largely effective and remain relevant to the fundamental ordering of society in any era.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종대 초반 시무개혁 세력 강관과 국왕의 관계
Ⅲ. 시무개혁 세력 강관의 경연강의 핵심 주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한보람(Boram Han). (2024).‘개화’의 태동, 고종 초기 ‘개화파’의 국왕 교육 - 고종대 시무개혁 세력의 인식 기반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사론, (), 79-116

MLA

한보람(Boram Han). "‘개화’의 태동, 고종 초기 ‘개화파’의 국왕 교육 - 고종대 시무개혁 세력의 인식 기반 분석을 중심으로." 중앙사론, (2024): 79-1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