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4세기 후반~15세기 변경민의 월경 문제와 명의 동팔참 점거
이용수 3
- 영문명
- Border Crossing Issues of Transmigrants in the Late 14th and 15th Centuries and the Ming’s Occupation of the Eight Military Station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 저자명
- 김진곤(Jingon Kim)
- 간행물 정보
- 『중앙사론』제63집, 39~78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논문 표지](https://contents.kyobobook.co.kr/sra/upload/book_img/106/1068607.jpg)
국문 초록
본 연구는 14세기 후반부터 15세기까지 조선 邊境民의 遼東(東八站) 지역 월경 문제와 15세기 후반 명이 양국의 국경완충지대인 동팔참 지역에 성과 보를 축조하면서 이 지역을 군사적으로 점거한 문제와 관련지어 살펴본 것이다.
1387년 명은 요동에 할거하고 있던 북원의 나하추 세력을 제압해 요동의 지배권을 확립했다. 그러나 명이 요동에 설치한 衛所 12개는 요양과 심양 주변의 요동 일부 지역에 지나지 않았고, 나머지 지역은 명의 통제권이 제대로 미치지 못했다. 특히 압록강과 요양 사이의 동팔참 지역은 명의 통제력이 미치지 못해 조선과 명의 국경완충지대가 되었다. 이러다 보니 이 지역은 고려말부터 고려(조선)의 변경민이 월경해 살고 있었다. 이들은 변경민에게 부과된 각 진에 대한 赴防과 사신들의 호송과 물건 운반의 피곤함과 명의 요동지역 인구 확보정책으로 인한 평안도 변경민에 대한 회유정책, 15세기 후반 명의 동팔참 지역 점거로 인해 월경해 동팔참 지역에 정착했다.
조선은 이 지역이 명의 직접적인 통제력이 미치지 않는 지역이었으므로 이 지역으로 월경해 들어가 살고 있던 고려(조선) 변경민에 대해 일정한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었다. 그런데 이러한 상황이 15세기 후반 변화하기 시작했다. 조선은 이 지역이 인적이 드물고 여진족이 횡행해 조선과 명의 사신 모두 위험에 노출된다는 이유로 사행로의 변경을 명에 요청했다. 처음에 명은 이러한 조선의 요청에 대해 응답하지 않다가 동팔참 지역에 성과 보를 축조하여 사신들의 안전을 도모하겠다는 새로운 대안을 제시했다.
이러한 명의 제안과 시행에는 종래 연구에서 지적한 국방상의 이유나 조선의 사행로 변경 요청에 대한 새로운 대안 제시라는 점과 함께 이 지역에 월경해 살고 있던 고려(조선) 변경민의 통제권을 확보하려는 숨은 목적이 있었다. 또한 조선으로서도 명의 동팔참 지역 점거가 안보의 위협이 될 뿐만 아니라 이 지역으로 월경해 살고 있던 고려(조선) 변경민의 통제권을 완전히 상실할 수 있다는 사실과 변경민의 월경을 가속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를 줄 수 있었다. 따라서 조선은 이에 대해 반대하였으나, 양국의 외교문제로 비화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라 어떠한 항의도 하지 못한 채 변경민의 월경을 방지하는 정책만 시행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되는 점은 명의 동팔참 점거에 대한 梁誠之의 상소와 당시 여러 인물의 요동(동팔참) 지역에 대한 인식을 통해 조선이 요동(동팔참) 지역에 대해 성곽을 축조하거나 주현을 두지 않았지만, 고려말부터 많은 고려(조선)인이 월경해 거주하고 있었으므로 이 지역을 영토로 인식하였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조선인의 영토 의식은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영토 의식과 달랐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ssue of border crossing in the area of Eight Military Stations from the late 14th to the 15th century, as well as the military occupation of the area by the Ming Dynasty in the late 15th century, during which they constructed fortresses and outposts in the Eight Military Stations region, a buffer zon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 1387, the Ming Dynasty established control over Liaodong by defeating the Nahachu forces of the Northern Yuan Dynasty, who had been occupying the region. Nahachu was a descendant of Mukari, a Mongolian imperial official appointed by Chinggis Khan as the vizier of the Xing'an region, where his family had held authority for generations. Yet, the 12 border checkpoints that the Ming established in Liaodong covered only a small area around Xiyang and Shenyang, leaving the rest of the region outside of Ming control. As a result, people from Goryeo (Joseon) who crossed the border had been living in this area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They crossed the border and settled in Eight Military Stations due to the burdens imposed on them by military service at each fort, escorting envoys and transporting goods, the appeasement policy for border residents in Pyeongan Province as a result of the Ming Dynasty’s policy to secure the population of the Liaodong region, and the Ming occupation of the Eight Military Stations area in the late 15th century.
Since the area was not under direct Ming control, Joseon was able to exert some influence over the Goryeo (Joseon) migrants living there; however, this situation began to change in the late 15th century. Joseon requested that the Ming alter the Sahaeng route, arguing that the area was sparsely populated and that the presence of Yeojin tribesmen posed a danger to both Joseon and Ming envoys. Initially, the Ming did not respond to Joseon’s request, but later, they proposed an alternative: to build a castle and a fortress in the Eight Military Stations area to ensure the safety of the envoys. In addition to the defense reasons highlighted in previous studies, or the fact that it offered a new alternative to Joseon's request to change the the Sahaeng route, there was an ulteranative reason behind the proposal and implementation of the plan: to secure control over the Goryeo (Joseon) settlers living in the area. Moreover, Joseon was concerned that the Ming occupation of the Eight Military Stations area would not only pose a security threat but also lead to a complete loss of control over the Goryeo settlers, potentially accelerating their migration across the border. As a result, Joseon opposed the plan but refrained from protesting out of concern that it might escalate into a diplomatic issue between the two countries; instead, they implemented policies to prevent further migration.
What is noteworthy here however is that Joseon was able to build a fortress in the Liaodong (the Eight Military Stations) region due to the appeal Yangsungji, the humanist scholar and writer in the early Joseon Dynasty, against the Ming Dynasty's occupation of the military areas and the perception of the Liaodong (the Eight Military Stations region by several people at that time. Although the fortress was not completed nor had a chief officer, it can be seen that this area was recognized as territory because many Goryeo (Joseon) people had crossed the border and settled there since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fore,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of the Joseon people differed from the territorial consciousness of modern people.
목차
Ⅰ. 머리말
Ⅱ. 변경민의 요동(동팔참) 지역 월경과 조선인의 영토 인식
Ⅲ. 15세기 후반 명의 동팔참 점거와 월경민 통제 문제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앙사론 제63집 목차
- ‘개화’의 태동, 고종 초기 ‘개화파’의 국왕 교육 - 고종대 시무개혁 세력의 인식 기반 분석을 중심으로
- 청일전쟁 시기 조선의 치안 문제와 일본군의 주둔 - 청 패잔병·동학군·비적의 사례를 중심으로
- 태조~현종대 노비 관리 정책의 성격과 추이
- 14세기 후반~15세기 변경민의 월경 문제와 명의 동팔참 점거
- 1960년 주한일본기자단 1진의 ‘신비로운 나라’ 한국 취재 활동
- 치변(治邊)의 딜레마: 중국-미얀마 접경지역과 국경 관리
- 현대 가톨릭사회교리에 대한 역사적 연구
- 일기를 통해 본 일제 식민지시기 ‘대만의식’의 생성과 변화
- 한반도화교·화인 관련 연구의 성과와 향후의 과제 - 한국 학계를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https://contents.kyobobook.co.kr/resources/dig-fo/dig/images/ink/etc/img_eCash@2x.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