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일기를 통해 본 일제 식민지시기 ‘대만의식’의 생성과 변화

이용수 2

영문명
Formation and Variation of ‘Taiwan Consciousnes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s Seen through Diaries
발행기관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저자명
손준식(Junsik Son) 이승찬(Sungchan Lee)
간행물 정보
『중앙사론』제63집, 217~260쪽, 전체 4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8,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일제시기를 살았던 대만인을 구세대와 을미(1895년) 신세대, 그리고 전쟁 세대로 나누어 그들의 일기를 중심으로 ‘대만의식’의 변화를 추적해 본 연구이다. ‘대만의식’이 1920년대 생성된 배경에는 대만총독부의 근대화와 동화정책으로 인한 대만 각 족군 간의 일체감 강화라는 사회 변동이 있었지만, 이를 촉발한 주된 원인은 식민지 착취와 민족 차별에 대한 대만인의 누적된 불만이었다. 특히 ‘내지연장주의’하에서도 본질적으로 달라지지 않은 차별 대우와 일본인의 우월감 등은 대만인 공동체 의식을 더욱 응집시켜 자치권 쟁취 등 대만을 하나의 특수한 지역으로 하는 ‘대만의식’을 드러냈지만, 이는 ‘일본의식’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여전히 농후한 ‘중국의식’을 내포하고 있었다. 물론 ‘대만혁명파’나 ‘대만화문파’와 같이 대만의 독립 건국 또는 대만 본위의 문학을 주장한 지식인들도 있었지만, 활동 기간도 짧고 그 영향력도 아주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만주사변 이후 일제의 통제와 동화가 강화되면서 이런 저항도 모두 잠복하게 된다. 대신 식민지하에서 일본 교육을 받고 성장한 세대들이 사회의 중추가 되고 전쟁 세대가 등장하면서 ‘대만의식’에 변화가 생기게 된다. 대만인을 일본인으로 개조하려는 황민화 운동을 비판하고 중국 전통문화를 지키려 했던 구세대에 반해, 중국에 대한 관념적 이미지만 가진 대부분의 을미 신세대는 정체성 혼란을 겪으며 주어진 현실에 뒤떨어지지 않으려 애를 썼다. 전쟁 동원에 대해서도 구세대가 마지못해 협력했다면, 을미 신세대는 개인별 차이는 있지만 적극 참여하는 모습을 보였다. 전쟁 인식에 있어서는 구세대조차도 태평양전쟁 발발 이후 일본제국의 일원인 대만을 위해 일본의 승리를 기대했고, 을미 신세대의 경우 서구제국주의에 맞선 해방 전쟁이라고 인식하였다. 또 이 세대가 쓴 소설에서도 하루빨리 ‘이등 국민’에서 벗어나 진정한 일본인이 되고자 하는 욕망을 표현하고 있다. 한편 전쟁 세대는 대부분 자신이 일본인이었을 뿐 아니라 차별도 느끼지 못했으며 전후 중국인 정체성으로의 전환에 당황스러웠다고 하였다. 반면 같은 세대로 일본 유학 중 정체성에 분열이 생겨 일제의 침략전쟁을 비판하고 대만인인지 일본인인지 갈등을 겪는 사례도 있었다. 다만 이들 세대가 느꼈던 일본과 대만에 대한 애증과 갈등이 이전 세대보다 더욱 복잡했음은 분명하다. 이상 살펴본바 일제시기 중반 생성되기 시작한 ‘대만의식’은 식민 지배의 장기화와 전쟁이란 상황 속에서 시간과 세대에 따라 차이와 변화를 보이고 있지만, 대만을 공동체의 공간으로 삼는 이러한 의식은 전후 국민당 정부의 ‘재 중국화’ 정책하에서 또 한 번의 전환을 맞게 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traces the variation of ‘Taiwan consciousness’ by examining the diaries of Taiwanes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dividing them into the old generation, the Yi-wei (1895) new generation, and the war generation. The formation of ‘Taiwan consciousness’ was influenced by social changes, including the strengthening of unity among various ethnic groups in Taiwan due to the Taiwan Government-General’s modernization and assimilation policies after the 1920s. However, the main catalyst was the accumulated discontent of Taiwanese against colonial exploitation and national discrimination. Particularly, even though under the ‘Extension of Homeland Policy’, the fundamentally unchanged difference and treatment, and sense of superiority the Japanese further consolidated the Taiwanese community consciousness. This led to the emergence of ‘Taiwan consciousness’ that viewed Taiwan as a special region, including demands for autonomy, while maintaining a strong ‘Chinese consciousness’ distinct from ‘Japanese consciousness’. Although there were some intellectuals, such as the ‘Taiwan Revolutionary Faction’ and the ‘Taiwanese Literature Faction’, who advocated for independence of Taiwan or Taiwan-centric literature, their activities were short-lived, and their influence was very limited. However, after the Manchurian Incident, as Japanese control and assimilation policies intensified, such resistance went underground. Instead, under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generation that received education and grew up during this eventually became the backbone of society, and with the emergence of the war generation, the variation of ‘Taiwan consciousness’ began to occur. Unlike the old generation who criticized the Imperialization Movement aimed at transforming Taiwanese into ‘true Japanese’ and tried to preserve Chinese traditional culture, in the Yi-wei new generation, they only had a conceptual image of China, struggled with identity confusion while trying to keep up with their given reality mostly. Regarding war mobilization, while the old generation cooperated reluctantly, the Yi-wei new generation showed active participation, though with individual variations. In terms of war perception, even the old generation hoped for Japan's victory for the sake of Taiwan as a member of the Japanese Empire after the outbreak of the Pacific War, while the Yi-wei new generation viewed it as a liberation war against Western imperialism. Moreover, in the novels written by this generation also expressed desire to escape the status of ‘second-class citizens’ quickly and become true Japanese. Meanwhile, in the war generation, most people not only considered themselves Japanese but also felt no discrimination as Taiwanese and were confused by the transition to Chinese identity after the war. In contrast, there were cases within the same generation where those studying in Japan developed identity crises, criticized Japan's invasion war and struggled with the conflict of whether they were Taiwanese or Japanese. However, it is evident that the love-hate relationship and conflict between Japan and Taiwan by these generations were more complex than previous generations. In summary, the ‘Taiwan consciousness’ that began forming in the middle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howed differences and variations over time and across generation within the context of prolonged colonial rule and war, but this consciousness that took Taiwan as a communal space would face another transformation under the Kuomintang government’s ‘re-Sinicization’ policy after the war.

목차

Ⅰ. 서론
Ⅱ. 일제 식민 통치하 대만인의 저항과 협력
Ⅲ. ‘공존’의 구호 속에 싹튼 ‘대만의식’
Ⅳ. 황민화와 전쟁 동원, 그리고 정체성 혼란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손준식(Junsik Son),이승찬(Sungchan Lee). (2024).일기를 통해 본 일제 식민지시기 ‘대만의식’의 생성과 변화. 중앙사론, (), 217-260

MLA

손준식(Junsik Son),이승찬(Sungchan Lee). "일기를 통해 본 일제 식민지시기 ‘대만의식’의 생성과 변화." 중앙사론, (2024): 217-26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