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구어 프랑스어의 직접인용표지 être là에 대한 연구
이용수 3
- 영문명
- Study of a French direct quotative marker être là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저자명
- 서정연(Jungyeon Suh)
- 간행물 정보
- 『국제문화연구』Vol.17 No.2, 177~206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offers an in-depth analysis of the use and semantic-pragmatic characteristics of new quotative markers in spoken French. The focus is on markers such as ‘être là’, ‘être comme/genre/en mode’, and ‘faire comme/genre’, observed primarily in the spoken language of younger generations born after the 1990s, particularly in Francophone communities in Canada. These markers go beyond merely conveying others' speech, as they vividly reproduce the original speech situation by incorporating non-verbal elements such as gestures, onomatopoeia, and visual information. This research utilizes Desclés' universal applicative grammar and the theory of enunciative operations to analyze the unique meaning of constructions like [X être là what is said] within the framework of the enunciative referential, a spatio-temporal concept centered on the speaker. The study aims to demonstrate that direct quotation in spoken discourse is the result of a complex enunciative operation and to elucidate how these new quotative markers each convey a distinct meaning. Unlike previous quantitative studies that focused on discursive meaning types or the grammaticalization process of quotative markers, this study provides a thorough discussion of the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aspects of these markers. Furthermore, it seeks to objectively and systematically prove that direct quotation in spoken language is not merely an act of transmitting others' speech but is instead the product of a complex enunciative process. Through this analysis of quotative markers in spoken French, the study offers new insights into the concepts, meanings, and functions of direct quotation, making a significant contribution to research on spoken French.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X ê tre la 피인용문]의 의미·화용론적 특징
Ⅲ. 직접인용표지 ê tre la 의 연산작용
Ⅳ.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문화연구 제17권 제2호 목차
- 동남아시아 대학의 한국학 교육 현황 연구: 한국 경제 관련 강좌를 중심으로
- 아세안 한상기업의 경영활동 비교분석
- 중국어 한글 표기법 문제점 고찰 - 중국 지명을 중심으로
- 영사외교의 체계화를 통한 재외국민보호시스템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국제법과 국내법제의 체계화를 중심으로
- 구어 프랑스어의 직접인용표지 être là에 대한 연구
- 국내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지원사의 의료통역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설문해자』수록자의 <아동> 어휘장 연구
- 지역사회 특성과 외국인 주민의 인권 감수성 - 광산구 현황을 중심으로
- 說文解字에 미수록된 秦簡文字 字形에 대한 考察 - 睡虎地秦簡을 중심으로
- 유아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 카자흐스탄 다큐멘터리 〈아버지의 생강 쿠키〉연구
- 경찰의 성평등 정책과 여성 인권 문화 담론
- 영유아교사의 인권 관련 연구동향
- 영제국에 대한 식민주의와 반식민주의 논쟁과 ‘균형적 접근’과 탈식민주의 교육
- 대학생 교육활동을 위한 서비스러닝 사례연구
- 한국 항공사의 기내난동 대응 체계와 객실 승무원의 역할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