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설문해자』수록자의 <아동> 어휘장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The Study of the Lexical Field of Chinese Characters Meaning 'Child' in “ShuowenJiezi[說文解字]”
- 발행기관
- 조선대학교 국제문화연구원
- 저자명
- 정운조(Unjo Jung)
- 간행물 정보
- 『국제문화연구』Vol.17 No.2, 157~176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emantic interpretations of 9,353 characters in the Shuowen Jiezi (Explaining and Analyzing Characters) to analyze the lexical field of “” in Chinese characters. Where necessary, the analysis references Shuowen Jiezi Zhu, Hanyu Dazidian (Comprehensive Chinese Character Dictionary), and ancient script form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Key Findings:
Five characters—子 (zi), 孺 (ru), 兒 (er), 婗 (ni), and 嫛 (yi)—were identified as encompassing both the semantic features of and . Additionally, interpretations from Shuowen Jiezi Zhu and Hanyu Dazidian reveal that characters such as 孩 (hai), 嬰 (ying), 幼 (you), and 童 (tong) also share semantic features associated with , , and , reflecting a more modern understanding of these age groups.
Lexical Field and Relationships:The characters 子, 孺, 兒, 婗, and 嫛 form a horizontal relationship within the Shuowen Jiezi, with shared semantic features of and , establishing a synonymous relationship. These characters are organized into a lexical field with 子 serving as the hypernym, under which the other characters are arranged horizontally.
Comparison to Modern Perspectives:
Unlike the modern classification of “child” (or a-dong, <아동>) into detailed age groups ranging from 0 to 18 years, the concept of “child” in ancient times primarily referred to “newborns” or “nursing infants.”
Future Scope:
Further analysis of the synonymous relationships among 子, 孺, 兒, 婗, 嫛 and characters such as 孩, 嬰, 幼, 童, as well as the processes by which these monosyllabic characters evolved into compound words or morphemes like 孩童 (hai-tong) and 兒童 (er-tong), will be addressed in subsequent sect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론
Ⅱ. 『설문해자』 수록 한자의 <아동> 어휘장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제문화연구 제17권 제2호 목차
- 동남아시아 대학의 한국학 교육 현황 연구: 한국 경제 관련 강좌를 중심으로
- 아세안 한상기업의 경영활동 비교분석
- 중국어 한글 표기법 문제점 고찰 - 중국 지명을 중심으로
- 영사외교의 체계화를 통한 재외국민보호시스템의 효율성 제고에 관한 연구 - 국제법과 국내법제의 체계화를 중심으로
- 구어 프랑스어의 직접인용표지 être là에 대한 연구
- 국내 결혼이주여성 통번역지원사의 의료통역 활동 경험에 관한 연구
- 『설문해자』수록자의 <아동> 어휘장 연구
- 지역사회 특성과 외국인 주민의 인권 감수성 - 광산구 현황을 중심으로
- 說文解字에 미수록된 秦簡文字 字形에 대한 考察 - 睡虎地秦簡을 중심으로
- 유아 세계시민교육 연구동향 분석
- 카자흐스탄 다큐멘터리 〈아버지의 생강 쿠키〉연구
- 경찰의 성평등 정책과 여성 인권 문화 담론
- 영유아교사의 인권 관련 연구동향
- 영제국에 대한 식민주의와 반식민주의 논쟁과 ‘균형적 접근’과 탈식민주의 교육
- 대학생 교육활동을 위한 서비스러닝 사례연구
- 한국 항공사의 기내난동 대응 체계와 객실 승무원의 역할에 관한 논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