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상담 및 심리치료의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부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132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supervisees' negative experienc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 발행기관
- 한독교육학회
- 저자명
- 장영주(Young Joo Chang) 이정숙(Jeong Sook Lee)
- 간행물 정보
- 『교육의 이론과 실천』제29권 제3호, 49~75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상담 및 심리치료의 수퍼비전에서 수퍼바이지의 부정적인 경험을 탐구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분야의 질적 연구자료들을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온라인 데이터베이스에서 연구 목적에 맞는 검색어를 적용하고, 배제와 포함 조건에 따라 도출된 연구물을 질적 평가하여 최종 선정된 대상 논문은 7편이었다. 선정된 1차 연구물을 메타 분석한 결과 총 3개 범주, 9개 주요 개념, 24개 하위 개념이 도출되었다. 범주에 따른 주요 개념은 다음과 같다. 범주 1 ‘수퍼바이저의 비인격적 태도’에는 비수용적 태도, 편견적 태도, 무관심한 태도, 징벌적 태도가 하위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범주 2 ‘수퍼바이저의 전문적 역량 부족’에는 미흡한 개입, 불성실한 사례관리, 비전문가적 자질이 하위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범주 3 ‘수퍼비전의 억압적 구조 및 의사소통’에는 권위적 관계, 일방적 의사소통이 하위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각 범주와 개념을 설명하고 논의하였다. 수퍼바이지의 부정적 경험의 특성을 밝힘으로써 수퍼바이저 교육의 중요성과 교육내용에 대한 시사점을 밝혔다. 끝으로 연구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supervisees' negative experiences in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in South Korea. To achieve this objective,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qualitative research data in this field. A qualitative meta-analysis is a research method that synthesizes qualitative studies on a similar topic to provide new interpretations. Seven papers were selected for final analysis. Upon comparison and synthesis of the selected studies, the findings revealed three categories, nine theme clusters, and 24 themes. The theme clusters within each category are as follows. ‘Supervisors' impersonal attitudes’ include non-accepting attitudes, biased attitudes, indifferent attitudes, and punitive attitudes. ‘Supervisors' lack of professional competence’ includes inadequate intervention, irresponsible case management, and unprofessional qualities. ‘The oppressive structure and communication in ‘supervision’ include authoritative relationships and one-way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findings, explanations and discussions were pro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had implications for the importance and content of supervisor education by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supervisors' negative experiences.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outlined,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다문화 교육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 료
- 박사학위논문
- 서울
- 상담심리교육복지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서울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상담학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대한질적연구학회지
- 질적탐구
-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상담학 연구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상담학연구
- 한국콘텐츠학회논 문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원교육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 한국심리학회: 상담 및 심리 치료
- 아시아교육연구
- 상담학연구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