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가야의 南齊 교섭과 ‘本國王’호의 의의
이용수 0
- 영문명
- Dagaya's Negotiations with the Namje and the Meaning of the Bonkukwang(本國王)
- 발행기관
- 한국고대사탐구학회
- 저자명
- 신가영(Ka-young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고대사탐구』제48집, 41~74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5세기의 국제정세 속에서 대가야가 어떻게 남제와 교섭할 수 있었는지 그리고 교섭 결과로 책봉된 ‘本國王’호가 대가야에 어떠한 의미가 있었는지를 검토하였다.
남제로부터 책봉 받은 보국장군 본국왕호를 근거로 금관국이 남제와 교섭했다고 파악하거나 최근의 발굴 성과를 근거로 안라가 남제와 교섭했을 것으로 추정되기도 하지만, 『남제서』의 가라국은 대가야로 파악된다.
대가야의 남제 교섭루트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있지만, 한반도에서 중국으로 가려면 백제 영역이었던 서해안을 경유해야 했다. 당시 대가야와 백제의 밀접한 관계를 고려하면 대가야는 백제의 도움을 받아 남제에 사신을 파견하였을 것이다.
대가야가 남제에 견사하여 책봉호를 받은 것은 대외적으로 성과를 거두었다고 할 수 있다. 내부적으로도 대가야의 성장·발전을 상징하는 의미가 있다. ‘본국왕’호는 대가야 세력권 내에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지만, 대가야에만 한정되는 것이었다. 이를 근거로 대가야가 가야 제국의 대외 교섭권을 장악했다거나 가야 제국을 주도하였다고 파악하기는 어렵다. 즉 ‘본국왕’이라는 작호는 대가야 세력권을 벗어나 다른 가야 지역까지 영향력을 미칠 수는 없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how Daegaya was able to negotiate with Namje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of the 5th century, and what the title of “Bonkukwang(本國王)” as a result of the negotiations meant to Daegaya.
Although it is sometimes assumed that Geumgwanguk negotiated with Namje based on the title of “Bokukgukgun Bongukwang(輔國將軍 本國王)” by Namje, or that Anra negotiated with Namje based on recent excavations, Garaguk in “Namjeseo” is identified as Daegaya.
There are varying opinions on Daegaya's negotiation route for the Namje, but the route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China was via the west coast, which was Baekje territory. Given the close relationship between Daegaya and Baekje at the time, it is likely that Daegaya sent envoys to the Namje with the help of Baekje.
It can be said that Daegaya's external achievement of receiving the appointment title from Namje was a success. Internally, it also symbolizes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Daegaya. The title of “Bonkukwang” may have been used with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Daegaya, but it was limited to Daegaya. Based on this, it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at Daegaya dominated the foreign negotiations of the Gaya countries or led the Gaya countries. In other words, the title of “Bonkukwang” could not have influenced other Gaya regions beyond Daegaya's sphere of influence.
목차
Ⅰ. 머리말
Ⅱ. 『남제서』에 보이는 가라국의 남제 교섭
Ⅲ. 5세기 국제정세와 대가야의 남제 교섭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고대사탐구 제48집 목차
- 백제 횡혈묘의 특징과 존재의미
- 在唐時期 崔致遠과 襄陽 李相公
- 表文으로 본 백제-남북조 관계와 ‘충실한 번국’ 표방
- 4~6세기 고구려에 전래된 유학의 성격과 그 영향
- 백제 무왕대 대왜관계와 불교 - 승려 관륵을 중심으로
- 東大寺를 통해 본 고대 일본 속의백제계 渡倭人 - 百濟王 敬福의 황금 헌상을 중심으로
- 대가야의 南齊 교섭과 ‘本國王’호의 의의
- 백제 왕실의 혼인 형태와 왕비·왕자의 지위 변화
- 백제지역 출토 중국 도자의 양상과 특징
- 唐代 瑞獸葡萄紋鏡의 제작시기와 韓·日로의 전래양상 검토 - 당대 기년명 묘 출토 서수포도문경을 중심으로
- 영산강 상류지역의 정치체 형성과 백제 군현
- 백제 초기 왕위계승과 정변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