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예비 중국어 교사의 중국어 성조 교육에 대한 인식
이용수 27
- 영문명
- Analysis of Pre-service Chinese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n Chinese Tone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인간과자연학회
- 저자명
- 권영실(Yongsil Kwon)
- 간행물 정보
- 『인간과자연』제5권 제2호, 183~215쪽, 전체 3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7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예비 중국어 교사들의 중국어 성조 교육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문제점과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 소재 H대학교에서 중국어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원생 15명으로, 이들이 작성한 실험보고서와 질의응답 자료를 바탕으로 성조 교육에 대한 인식을 고찰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음성 분석 도구인 Praat을 활용하여 성조의 물리적 특성(음높이, 음길이 등)을 시각적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조 발음의 오류와 교정이 필요한 부분을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은 성조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음성 분석 도구의 활용에 대한 부족함과 과잉 교정 등의 문제를 겪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은 성조 교육의 효과를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으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보다 정교한 교수법과 실제 교육 현장에서 적용 가능한 도구와 방법론의 개발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본 연구는 예비 교사들의 성조 교육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중국어 발음 교육의 질적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duct an in-depth analysis of pre-service Chinese language teachers’ perceptions of Chinese tone education and to propose practical solutions for the challenges they face in the educational field. The research subjects were 15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Chinese language education at H University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practice reports and Q&A sessions, this study explored their understanding and difficulties regarding tone education. The research methodology employed the Praat speech analysis tool to visually examin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ones, such as pitch and duration, and to identify errors and areas requiring correction in tone pronunciation. The findings revealed that whil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tone education, they encountered issues such as insufficient use of speech analysis tools and overcorrection. These problems are identified as obstacles to effective tone education,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more refined teaching methods and practical tools be developed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This research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to enhance pre-service teachers’ abilities in tone education and contribute to the overall improvement of Chinese pronunciation education.
목차
1. 들어가는 말
2. 선행연구
3. 실험보고서 분석
4. 질의응답
5.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화 내러티브와 사운드 디자인의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 국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실용음악과 학업 경험에 관한 문화기술지
- 편전(片箭) 쏘는 방법 硏究
- 주숙진(朱淑眞)의 단장사(斷腸詞), 암흑 속에서 외친 절망의 노래
- 한국 영화음악의 형성과 전개: 태동기, 조선 영화음악의 발전 과정(1897-1945)
- 중국 드라마 대화 인접쌍에 나타난 ‘没(有)’의 담화기능
- 예비 중국어 교사의 중국어 성조 교육에 대한 인식
- 10세기 후반 宋太宗의 “北伐” 연구 - 北漢 정벌과 “燕雲 16州” 탈환 정벌을 중심으로
- 최한기(崔漢綺)와 벤자민 홉슨(Benjamin Hobson, 合信)의 만남: 신기천험(身機踐驗)을 중심으로
- 『리바이어던』에 나타난 ‘우상 숭배’에 대한 홉스의 통찰 - 4부 ‘어둠의 왕국’에 대한 분석과 평가를 중심으로
- 2023 동물복지에 대한 국민의식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과 생명철학적 제언
- AIDS를 이용한 지출탄력성과 가격탄력성 추정
- 언어폭력의 가해 요인과 사상체질별 예방 고찰
- 신쾌동류 거문고산조 중중모리 리듬분석
참고문헌
관련논문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BEST
- 딥페이크(Deepfake) 영상물에 관한 법적 대응조치 검토
- 숏폼 미디어 몰입이 집중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0대 청년을 대상으로
- Chat GPT의 원리, 활용, 한계와 업무효율화
복합학 > 학제간연구분야 NEW
- 김영재 거문고 독주곡 “마무(馬舞)” 장단 및 리듬분석
- 앙리 듀티외(Henri Dutilleux)의 ≪플루트와 피아노를 위한 소나티네≫(Sonatine pour Flute et Piano) 연주기법 고찰
- 한국 재즈 1세대 트럼펫 연주자 최선배의 음악 생애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